AI 방역대책에 불황 직격탄
“대책 기간 4개월로 조정해야”
입식 휴지기간제로 생산 차질
“소비자에 정상 공급 어려워”

김만섭 한국오리협회 회장.
김만섭 한국오리협회 회장.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안타깝게도 오리산업은 2011년도 이후로 불황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김만섭 한국오리협회 회장이 불황의 늪에 빠진 오리 산업에 대해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나섰다. 오리산업이 불황을 벗어나지 못하는 근본 원인에는 해마다 되풀이되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가축전염병 예방법 개정에 따른 과도한 각종 방역 조치 강화가 도사리고 있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인터넷언론인연대와 만난 자리에서 정부를 향해 “법적 근거도 없이 당해 10월부터 다음 해 5월까지 8개월로 정해 운영하는 AI 특별방역대책 기간을 AI 위험시기인 11월부터 2월까지 4개월로 조정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 회장에 따르면 오리산업은 한참 전성기였던 2011년도 오리생산액 1조 4000억원 신화를 달성했다. 그러나 2016년 9000억원으로 대폭 떨어졌고 도축 마릿수도 9000만수에서 4600만수로 거의 반토막이 난 상황이다. 

정부의 통제 강화가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전국 지자체장에게 사육제한명령과 일시이동중지명령권을 부여하고 일제 입식 및 출하와 출하 후 휴지기간 14일 준수, AI 재발생농가 살처분 감액기준 5년 이내 발생 시 감액 강화 등이 오리농가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지난 겨울, 정부는 평창동계올림픽을 대비해 오리농가 휴지기제를 처음 시행했다. 올겨울에는 전국 시·군 단위로 대대적인 사육제한이 예정돼 있다. 게다가 출하 후 14일 이후 입식 휴지기간 준수 등 각종 강화한 방역 조치에 따라 오리고기 생산 자체에 막대한 손해를 입힐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정부의 오리농가 휴지기제에 대해 “작년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시행한 휴지기제 농가 180여 농가와 지자체 자체적으로 시행한 80여 농가를 포함 총 260여 농가, 마릿수로는 350만수 규모에 5개월이니까 약 850만수의 오리고기 생산에 차질이 발생했다”며 “공급량 부족에 따라 오리고기 가격은 2018년도 상반기 가파르게 상승했고 업계에서는 거래처 물량공급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오리고기 전문식당들은 메뉴를 바꾸거나 폐업하는 등 오리고기 소비기반 자체에도 영향을 미쳐 도매가의 두 배 이상 거래돼 소비자분들께 정상적인 공급이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협회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사육제한 농가의 경우 오리수급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반드시 전체의 20% 수준인 180농가 이내로 선정해줄 것과 농가의 동의서 징구를 통한 자율적인 참여를 금지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김만섭 한국오리협회 회장.
김만섭 한국오리협회 회장(가운데).

김 회장은 “무엇보다도 협회는 오리의 사육을 제한해 AI를 예방하려는 정책은 전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고 산업을 고려하지 않는 임시방편 방역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오리산업을 붕괴시킬 우려가 있는 5대 악법과 불합리한 방역 조치 개선을 위해 변호사 자문 및 5대 악법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에 대해 10개년에서 15개년의 중장기적인 특별지원사업 추진을 통해 농가의 축사 및 방역시설을 보완해 나가도록 하는 플랜을 지금부터 서둘러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그는 오리고기의 장점에 대해 “육류 중에 유일하게 알칼리성인 오리고기는 피가 산성화되는 것을 막아 노화를 막아주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불포화지방산과 그중에서도 오메가3의 함량이 매우 높다. 특히 성인병을  예방하고 오리기름에 있는 리놀렌산은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A가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와 노인들의 면역력 증진에도 좋다”며 적극적인 소비를 당부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