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욱 역사 칼럼니스트 

 

무뢰배였던 주온(朱溫)은 황소(黃巢)의 농민군에 가담했다가 조정에 투항해, 거꾸로 황소의 군대와 각지의 번진을 진압하면서 세력을 강화했다. 당왕조 말기에 가장 막강한 실력자로 부상한 그는 소종(昭宗)을 낙양으로 옮긴 후 황제를 손아귀에 넣고 천하를 호령하려고 했다. 그러나 그가 갑자기 소종을 죽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다. 첫째, 소종이 세력을 잃었지만 공식적으로는 최고 권력자인 황제였다. 주온의 적수인 이극용(李克用)이나 이무정(李茂貞) 등 군벌들은 모두 소종을 끼고 당을 부흥한다는 기치를 들고 나왔다. 소종이 그들을 지지하면 자신은 하루아침에 반역자로 변한다. 게다가 파란만장한 정치적 사건을 겪으며 성장한 소종은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 둘째, 정적인 이극용과 이무정은 자신이 직접 상대하지 않을 수 없는 강적이었다. 낙양으로 천도하는 과정에서 직접 소종을 상대했던 주온은 그가 허수아비 노릇에 만족할 군주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소종이 천자의 권위를 이용해 조정 신하들과 결탁하고 외부의 원조를 받는다면 끔찍한 사태가 발생할 것이다. 소종은 주온의 입장에서 방심할 수 없는 상대였기 때문에 피살됐다.

소종을 살해한 후 주온은 책임을 이정영과 배정일에게 전가했다. 그것으로도 사태가 마무리되지 않을 것 같다는 판단이 서자 양자인 주우공과 심복 지숙종까지 희생양으로 삼았다. 정치적 감각이 뛰어났던 그는 약화됐지만, 당왕조는 아직도 제국 전체에 상당한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소종이 피살됐다면 야심가들이 그것을 이유로 연합할 가능성이 높았다. 처음부터 그것을 염려한 그는 낙양으로 천도한 후 재빨리 본거지로 돌아가면서 낙양에 남은 주우공에게 넌지시 황제를 암살하라고 지시했다. 자신은 현장에 있지 않았기 때문에 황제피살사건과 관련이 없다고 발뺌할 속셈이었다. 그러나 오리발로 여론의 비난을 수습할 수 없게 되자 주온은 국정 책임자로서 철저히 책임자를 문책해 천하의 여론에 순응한다는 모습을 보여줘야 했다. 고심하던 그는 황제의 안전을 책임졌던 주우공과 지속종을 속죄양으로 삼았다. 두 사람은 금군의 지휘관으로 황제의 출입에 관한 모든 업무를 관장했다. 세상은 두 사람이 주온의 심복임을 알고 있었으며, 특히 주우공은 그의 양자였다.

두 번째 원인은 보다 직접적이었다. 당시 주온은 황하 유역 대부분을 장악했다. 그러나 번진 가운데 이극용과 이무정 등은 오랜 강적으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상대가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름뿐이지만 당황실은 자신의 세력을 지탱하기 위해 필요했다. 황실이 그들을 지지하면, 주온은 갑자기 반역자로 몰린다. 황제가 피살된 상황에서 속죄양을 내밀지 않으면 천하의 이목을 가릴 수 없다. 강적들을 완전히 제거할 때까지 당황실을 유지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그는 13세에 불과한 이축을 허수아비 황제로 옹립한 후, 차근차근 스스로 칭제할 길을 닦아나갔다. 주온은 어린 황제를 지킨다는 명분으로 이극용 등 번진들을 공격하고, 소종의 아들 9명을 모두 살해했다. 당을 지탱하던 재상 배추(裵樞)를 비롯한 과거출신 관료들 가운데 반대파 100여명도 차례로 살해했다. 당은 이름만 남은 껍데기가 되고 말았다. 당을 대신해 자신의 왕조를 세울 때가 됐다고 판단한 주온은 천우4년(907) 애제를 대량(大梁)으로 끌고 와 선양의 형식을 갖추고 황제로 등극했다. 이것으로 한 때 세계 최고의 제국이었던 대당제국은 이름마저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무뢰배도 황제가 될 수 있는 세상이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