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출처: 연합뉴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출처: 연합뉴스)

대한상의 등 경제단체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재입법’ 국회에 건의

中企 40%,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워크아웃’이 효과적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경제계가 부실징후 중소기업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조정을 위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이하 기촉법)의 재입법을 건의하고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중소기업중앙회 및 중견기업연합회와 공동으로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재입법에 대한 경제계 의견’을 22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기촉법은 ‘워크아웃’을 통해 부실 징후가 있는 기업의 회생을 지원하는 제도다. 2001년 한시법으로 제정된 이후 네 차례 연장돼, 올해 6월30일 일몰 폐지됐다. 현재 기촉법 제정안 3건이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들이 제출한 건의서에 따르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기업 비율이 지난해 30.9%에 달했다. 기업 10곳 중 3곳이 충분한 돈을 벌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또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금융비용)이 1.0 미만인 중소기업이 44.1%로, 중소기업 10곳 중 4곳 이상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했다.

경제계는 “워크아웃(기촉법 근거), 법정관리(통합도산법 근거), 자율협약 등 국내기업 구조조정제도 세 가지 가운데 중견·중소기업에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워크아웃’”이라며 ”올해 6월 일몰로 기촉법이 부재한 현 상황에서 중소‧중견기업의 피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법원 주도의 ‘법정관리’는 모든 채권자를 참여시키고 법적 요건도 까다로워 구조조정이 장기간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의결조건도 까다롭고, 적용대상도 ‘부실기업’만이 가능하다. 채권금융기관 주도의 ‘자율협약’에 의한 구조조정은 채권단 동의를 받기 쉬운 대기업에만 대부분 적용됐을 뿐, 중소기업은 사실상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경제계는 대표적인 구조조정 제도인 워크아웃, 법정관리, 자율협약 가운데 중견·중소기업에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워크아웃인 것으로 보고 있다.

워크아웃은 원금 상환 유예, 이자 감면, 신규 자금 조달 등의 요건에 대해 총 신용공여액의 75% 이상만 동의하면 가능하다. 용대상도 부실기업뿐만 아니라 부실징후기업까지 폭넓게 인정하고 있다.

2016년 이후부터 지난 6월 말까지 기촉법을 통해 워크아웃을 신청한 중소기업은 104개. 지난해 말 기준으로 워크아웃을 진행 중인 기업 47개 중 25곳이 중소, 중견기업이었다.

기업 회생률도 기촉법을 통한 워크아웃이 법정관리보다 높았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워크아웃기업 145곳 중 61곳이 회생해 성공률이 42.1%로 나타난 반면, 도산법 적용 대상인 법정관리기업은 102곳 중 28곳만 회생해 성공률이 27.5%에 그쳤다.

기업의 수익성 회복에도 효과적이었다. 회생절차 개시 3년 후 영업이익률을 비교했을 때 워크아웃 기업들은 (+)3.1%를 기록한 반면, 법정관리 기업들은 (-)1.2%에 그쳤다.

경제계는 “법정관리절차 진행시 협력업체에 대한 대금지급 중단 및 채무조정 실시 등으로 해당기업의 부실이 협력업체까지 전이될 수 있다”며 “반면 워크아웃은 협력업체와 상생을 통한 구조조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박재근 대한상의 기업환경조사본부장은 “기업간 편중화가 심화되고 부실징후가 늘어나고 있으며 시장자율의 기업구조조정 관행이 정착되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 조속히 기촉법을 재입법해 기업들의 효율적 구조조정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