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지난 6월 12일 오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단독회담을 마친 뒤 함께 이동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지난 6월 12일 오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단독회담을 마친 뒤 함께 이동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이솜 기자] 미국 내 대표적 대북 강경파로 꼽히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1년 내 북한 비핵화’가 자신의 요구사항이 아닌 남북 정상의 약속이었음을 계속 강조해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볼턴 보좌관의 말대로 남북 정상이 ‘1년 내 비핵화’ 원칙에 합의했다면 남북 정상회담 등에서는 문 대통령에게 ‘촉진자’ 역할이 한층 돋보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볼턴 보좌관은 19일(현지시간) ABC 방송 인터뷰에서 “문 대통령이 그 회담(4.27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이 더 빨리 비핵화 할수록 개방의 혜택을 더 빨리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 우리에게 전했다”고 밝혔다.

볼턴 보좌관은 또 “문 대통령은 이것들을 1년 내 하자고 했고 김 위원장은 ‘예스’라고 했다”며 “북한이 비핵화의 전략적 결정을 내리는 시점으로부터 1년은 남북이 이미 동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 5일 폭스뉴스 방송의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밝힌 ‘북한의 1년 내 비핵화 약속’ 발언의 연장선이다.

당시 볼턴 보좌관은 “우리의 우선순위는 북한의 비핵화”라며 “김 위원장은 4월 27일 판문점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 일(비핵화)을 할 것이고 1년 안에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에 진행자가 ‘1년 동안 문을 열어놓고 그 후 닫는 것인가’라고 묻자 볼턴 보좌관은 “아니다”라고 부정하면서 “1년이라는 기간은 김정은에게서 나온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볼턴 보좌관은 앞서 꾸준히 ‘비핵화 1년 시간표’를 강조해왔다. 지난달 1일에도 “우리는 물리적으로 1년 이내 엄청난 양의 (북핵) 프로그램을 해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압박했다. 그러나 그 시간표가 북한의 자발적인 약속임을 상기시키는 발언은 최근에서야 나왔다.

볼턴 보좌관의 ‘김정은 1년 비핵화 약속’ 발언 후 6일 청와대는 “그에 대한 정보가 없다”며 “판문점에서 두 정상 사이에서 무슨 얘기가 오갔는지도 알지 못하고, 안다고 해도 언급하기 적절치 않다”고 이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볼턴 보좌관이 ‘문 대통령의 제안을 김 위원장이 수락했다’고 구체적으로 밝히면서 청와대가 다시 입장을 표명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또한 볼턴 보좌관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을 확정하면서 이 같은 발언을 한 점에도 관심이 모인다.

지난달 초 3차 방북 당시 김 위원장을 만나지 못해 ‘빈손 방북’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에 교착 국면에 빠진 북미 협상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북미가 그간 물밑 조율을 해온 데다가 북한의 정권수립 70주년 기념일인 올해 9.9절과 미국의 11월 중간선거, 남북 정상회담과 유엔총회 등 굵직한 정치 이벤트가 걸린 시기이기 때문이다.

다만 내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이 예상돼 하나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협상이 교착된 데 중국의 배후설을 여러 차례 제기해왔다.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중국을 우군으로 삼아 목소리에 힘을 실으려는 북한과 북한을 지렛대로 삼으려는 중국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미국의 기대만큼 협상에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