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이예진 인턴기자] 올해 1분기 비경제활동인구 중 일하지 않은 이들인 ‘쉬었음’ 인구는 195만 1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고령자에 속하는 60세 이상 인구는 84만 1000명으로, 전년 대비 11만 5000명이 늘었다. 사진은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팔각정에서 휴식을 취하는 노인의 모습. ⓒ천지일보 2018.6.28
[천지일보=이예진 기자]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팔각정에서 휴식을 취하는 노인의 모습. ⓒ천지일보 2018.6.27

고용정보원 인구통계 분석결과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저출산·고령화로 인구감소가 우려되는 가운데 전국 시·군·구 10곳 가운데 4곳은 지역 자체가 소멸할 위험에 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동향 브리프 7월호에 실린 이상호 연구위원의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인구감소로 인한 ‘소멸위험 지역’은 89곳(39.0%)으로 집계됐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곳을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했다. 소멸위험 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으로,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토대로 산출됐다. 이는 가임여성 인구가 고령인구의 절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지역이 소멸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소멸위험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경북 의성으로 ‘0.151’이었다. 이어 전남 고흥(0.161), 경북 군위(0.169), 경남 합천(0.171) 등으로 집계됐다. 이들 지역은 전국 평균인 ‘0.91’보다 낮았다.

광역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0.47), 경북(0.55), 강원(0.58), 충남(0.67) 등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서울(1.09)과 경기(1.18), 인천(1.15) 등 수도권과 세종(1.59), 울산(1.23), 대전(1.18), 광주(1.13) 등 도시는 1을 넘었다.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지난 2013년 7월 기준 75곳이었다. 하지만 5년 만에 14곳이 늘었다. 소멸위험 지역으로 추가된 곳은 강원 철원(0.480)과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0.496), 김천(0.496) 등이다. 경남 사천(0.507)과 전북 완주(0.509)의 경우 연내 소멸위험 지수가 0.5 아래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국 3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위험 지수가 0.5에 못 미치는 곳은 총 1503곳(43.4%)으로, 이는 지난 2013년의 1229곳보다 274곳 늘어난 수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