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기상청이 공개한 미국 해양대기청(NOAA) 극궤도 위성을 통한 한반도 주변 해역 2016~2018년 7월 평균 등수온선 분석 자료. (제공: 기상청)
9일 기상청이 공개한 미국 해양대기청(NOAA) 극궤도 위성을 통한 한반도 주변 해역 2016~2018년 7월 평균 등수온선 분석 자료. (제공: 기상청)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한반도 주변 바다 수온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한국 폭염 수준이 매년 심각해진다는 전망이 나왔다.

기상청은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며 9일 이같이 밝혔다. 무더위로 높아진 수온이 또 내륙에 폭염을 유발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설명이다.

기상청은 해양기상부이로 관측한 표층 수온 분석 결과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수온은 최근 2010년부터 올해까지 빠르게 상승하고 있었다.

한반도 전 해역의 7월 평균 수온은 2010년 이후 연 0.34℃씩 상승해, 수온 관측을 시작한 1997년 이후 7월 평균 수온 상승 경향인 연 0.14℃ 보다 약 2.4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해는 7월 월평균 수온이 1997년 이후 연 0.17℃씩 오르다가 2010년부터 연 0.54℃씩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남해와 동해의 7월 월평균 수온은 각각 연 0.30℃와 0.21℃씩 증가했다.

또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극궤도 위성이 관측한 2016~2018년의 7월 평균 수온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수온 영역이 지속적으로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었다.

2016년에는 7월 평균 25℃ 등수온선이 태안과 울산 인근 해역에서 그쳤으나, 2017년에는 백령도와 속초, 올해에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인근 해역까지 북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급격하게 수온이 상승한 가장 큰 이유는 장기간 지속된 폭염으로 대기 온도가 상승하고 일사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기상청은 전했다.

또한 한반도는 지난 몇 년간 직접적인 태풍 영향을 적게 받아 해수면 아래 찬 바닷물과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이 섞여 수온을 낮추는 경우가 적었다.

북쪽이 막힌 한반도 주변 해역의 특성, 따뜻한 해류 ‘쿠로시오’와 ‘대마 난류’의 세력 강화, 주변 국가의 산업화로 인한 기후변화 등의 원인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은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바다의 어종 변화,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등의 현상이 계속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재철 기상청장은 “한반도 주변 해수온도 상승은 지구온난화가 초래한 일면으로,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의한 원인과 영향을 자세히 파악하고 국민과 함께 지혜를 모아 사회 전반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