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원주=이현복 기자] 지난 3일 강원도 평창군 대화체육관에서 ‘6.25 전사자 유해발굴’을 위한 개토식이 열리고 있다. (제공: 육군 제36보병사단) ⓒ천지일보 2018.4.4
[천지일보 원주=이현복 기자] 지난 3일 강원도 평창군 대화체육관에서 ‘6.25 전사자 유해발굴’을 위한 개토식이 열리고 있다. (제공: 육군 제36보병사단) ⓒ천지일보 2018.4.4

“조사·발굴·감식 분야… DMZ 독자 임무수행 가능”

유가족 DNA 추가확보로 신원 확인률 향상 도모

[천지일보=박정렬 기자] 국방부가 남북의 ‘비무장지대(DMZ) 6.25 전사자 유해 공동발굴’에 대비해 전문인력을 확충하고 신원확인율 향상을 위한 유가족 DNA 추가확보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내년까지 유해발굴 전문인력 4개 팀(48명)을 증편할 계획이다. 이는 DMZ 지역에서 독자적인 임무수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와 발굴, 감식 분야 전문인력으로 구성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유해발굴 전문인력 확충을 통해 남한지역에서뿐만 아니라 DMZ 지역에서도 유해발굴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시 투입태세를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남한지역 9만여명, DMZ과 북한지역에 4만여명의 국군 전사자 유해가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양구, 철원 등의 DMZ 지역은 과거 ‘백마고지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 등의 격전지다.

유해발굴 전문인력 확충과 함께 신원확인을 위한 유가족 DNA 추가확보 방안도 추진된다. 현재까지 유해발굴 사업을 통해 발굴된 국군 전사자는 1만여명으로 이중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129명 뿐이다. 이는 전사자 기준 확보된 유가족 DNA가 3만 2000여명으로 6.25전사자 유가족의 24%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유가족 DNA 확보가 어려운 이유는 전사자 직계 가족이 많지 않고 전사자와 유가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당시 병적기록 등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국방부의 설명이다.

현 주민등록 체계는 1968년부터 시행돼 6·25전사자는 주민등록 번호가 미부여 돼 있으며 현행 행정 전산망으로는 검색이 불가능하다.

이에 국방부는 유가족 DNA 확보를 위한 전담인력을 현행대비 4배로 확충하고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는 등 보다 공세적으로 유가족 DNA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유가족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DNA가 미확보된 10만여명의 전사자 명단을 공개(SNS, 관공서, 보훈처, 병무청 등)해 유가족이 보다 쉽게 전사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범정부 차원의 협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