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황지연 기자]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보호종결아동 자립연구 발표세미나’가 열린 가운데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선 보호시설 퇴소아동들을 위한 주거, 교육, 취업, 의료 등에 대한 지원 대책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천지일보 2018.8.6
[천지일보=황지연 기자]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보호종결아동 자립연구 발표세미나’가 열린 가운데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선 보호시설 퇴소아동들을 위한 주거, 교육, 취업, 의료 등에 대한 지원 대책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천지일보 2018.8.6

보호종결아동 자립연구 발표세미나

“퇴소 이후 아이들 부적응 크게 발생”

[천지일보=황지연 기자]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서 자란 후 퇴소한 아동들의 자립을 위한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최경옥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보호종결아동 자립연구 발표세미나’에서 “아이들의 부적응은 그룹홈에서 보호받으며 살았을 때 보다 퇴소 이후 살아가면서 더 크게 발생하고 있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룹홈은 가정해체와 방임, 유기 등의 이유로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가정과 비슷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아동보호시설을 말한다.

최 교수에 따르면 그동안 아동양육시설 퇴소아동들에 대한 자립지원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자립지원에 대한 요소들이 정책으로 다듬어져 2011년부터 자립전담요원 등의 배치가 본격화됐다.

하지만 최 교수는 “아직까지 자립지원정책은 아동복지시설에 우선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편”이라며 “그룹홈은 자립전담요원 배치가 제외돼 있고, 퇴소아동 사례관리 사업도 시설 퇴소 아동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형평성에 맞지 않는 지원을 하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외로움과 홀로 싸우고 경제적 관리를 못 해 자립을 포기하는 청소년들을 발굴하고 예방할 수 있는 지원은 퇴소 전 교육도 중요하지만 퇴소 후가 더 중요하다”며 청소년들의 자립에 필요한 전문 인력 지원을 제안했다.

또 최 교수는 퇴소 청소년들의 안정적 생활을 위한 주거환경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룹홈 보호종료아동 중 55.5%만이 정부의 주거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꼬집으며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전세자금 지원 확대와 새로운 형태의 주거지원 개발을 제시했다.

아울러 그는 “퇴소 청소년들은 자립정착금 지원을 받지만 기숙사나 원룸 등에 다 소진한다”며 “퇴소 연장과 준비 청소년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안정선 그룹홈 회장은 “자립에 있어서 정서적인 부분이 가장 중요한 시기에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자립전담요원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정부관계자, 현장전문가, 실무자, 보호종결아동 등이 참석해 그룹홈 아동들에 대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한편 토론회에 앞서 ‘그룹홈 청소년들을 위한 사회적응프로그램 자립캠프’에서 선정된 우수팀 시상식이 진행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