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전체가 가마솥 무더위에 펄펄 끓고 있다. 낮에도 덥지만 30도가 넘는 기록적인 열대야로 숨 막히다는 표현 외에는 달리 표현이 안 된다. 폭염이 이어지면서 올해 온열 질환자는 2만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폭염에 시달리는 중에 더 무서운 것이 있으니 ‘정전’이다. 실제 일부 지역에서 이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고양시 모 아파트는 이틀째 정전으로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신고리 원전 건설 중단 사태’를 겪었다. 친환경 정책을 표방하며 원전을 폐기하자는 쪽 목소리가 커져, 이례적인 공론화장이 펼쳐졌다. 공론화 초기 분위기는 ‘원전을 폐기하자’는 쪽이 우세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원전이 그 어떤 에너지보다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다는 과학자들의 주장이 힘을 얻었다. 만약 지난해 신고리 원전 폐지로 결론이 났다면, 올해 기록적 폭염에 에너지 수급은 더 악화일로를 걸었을지도 모른다. 

정전으로 인해 이런 폭염에 에어컨을 켤 수도 냉장고를 사용할 수도 없는 상황이 단 한 시간만 온다 해도 큰 혼란을 겪을 게 뻔하다. 정부가 폭염을 재난으로 보고 대책을 세우겠다고 했지만 미미하다. 한시적으로 가정용 전기 누진세를 보류하는 방안도 점검한다고 했으나, 이 또한 전기사용 급증을 초래하는 게 아닌가 싶어 우려된다. 

문제는 폭염이라는 재난이 지구전체 온난화의 영향이라면 올해만으로 끝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폭염을 태풍 홍수와 같은 재난으로 분류해 근본적인 에너지 수급 대책을 세워야 한다. 가정용 전기요금 체제 개편도 중요하지만 충분한 예비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이다. 더불어 에너지 취약계층이 폭염을 이길 수 있는 에너지 지원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