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천지TV=황지연 기자] 예멘 난민들이 제주도로 몰려오고 있지만 뚜렷하지 않은 난민 수용 정책 때문에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체류 중인 예멘 난민 신청자 수는 982명.
그 중 절반이 넘는 552명은 제주도 무비자 제도를 통해 들어 온 사람들입니다.

지난 4월 말 법무부는 난민 신청자들이 제주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고,
예멘을 제주도 무사증 입국 불허 국가로 지정했습니다.

추가 대책으로 현재 4명뿐인 난민심사 인력을 10명으로 확충했습니다.
하지만 제주도에서는 법무부 대책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 윤창완 | 안경집 운영)
그분들은 뭐 어떤 그 나라의 정세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그런 선택을 했겠지만 여기에 들어왔을 때 어떤 기본적인 제도가 수용할 수 있는 제도와 우리 제주 도민들이 그걸 포용할 수 있는 그런 게 아우러져야 우리가 공존을 하지 현명한 선택을 자치도에서 결정을 내려줬으면 좋겠어요. 그런데 우리 밑에서 느끼는 체감 온도는 사실은 불안해요

(인터뷰 : 박혁 | 제주시 건입동)
전쟁 때문에 피난 왔다는데 그건 이해하죠. 근데 제주도가 원래 무비자잖아요. 그것은 정책이 잘못됐다고 생각을 해서 무비자라는 개념이 애매모호하더라고요. 여행사, 여행객들 때문에 그런다고 얘기하는데 피해 보는 것은 솔직히 말하면 제주도 도민이잖아요.

무비자 제도는 제주도 관광 활성화를 위해 2002년 도입된 건데요.

문제는 제도 허점을 이용해 관광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난민들이 대거 입국해 난민 수용을 놓고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제주도민)
(저는) 나이 먹은 사람이라서, 제주도 고유에 무엇을 딱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외국인들이 들어오고 하면은 자꾸 무너지지 않을까? 하다 보면 우리가 그 사람한테 조심해야 할 부분도 있고 그러다 보면 역전되어버릴 것 같아요. 외국인들이 다 차지하고 원래 제주도 고향인데 뭍사람들도 많이 들어왔잖아요. 외국인까지 들어와 버리면 땅만 제주도 땅이지 제주도 사람은 없어지고….

난민 거주지를 지원하고 있는 한 호텔 사장은 인도적 차원에서 기본적인 식료품 등은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 김우준 | 관광호텔 운영)
처음부터 이 사람들을 도와주려고 마음먹고 한 것 아니고요.저희가 숙박업소 호텔을 운영하다 보니까 이 친구들이 오더라고요. 처음에는 난민인줄 몰랐는데 다음날에 또 많이 몰려 오길래. 이 외국인들이 누구지 하고 인터넷에 뒤져보니까 난민이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다른데 식당들 오픈 안하고 하니까 이거(식당문) 꼭 열어달라고 부탁해가지고 좀 많이 망설였는데 그렇지 않으면 얘네들이 굶겠구나. 그렇게 생각이 들어가지고 오픈하게 된 거죠.

두 달전쯤 가족과 함께 말레이에서 제주도로 온 한 난민은 난민 신청이 기각되면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 답답한 상황이라고 털어놨습니다.

(인터뷰 : 제주 예멘 난민)
사우디와 종교 내전으로 파괴돼 다시 돌아갈 수 없다. 정식 이민은 돈이 많이 들어 불가능하다. 한국에서 난민으로 인정받지 못하면 어디로 가야할 지 모르겠다.

제주도청은 이민청의 협조요청이 있어야만 지원을 나갈 수 있다면서 난민 업무는 국가사무이기에 한계가 많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 제주도청 종합상황실 관계자)
이민청에서 협조요청 뭐 들어와서 자원봉사라든지 인력이라든지 지원하든 아니면 숙소를 알아봐 달라 이렇게 하면 저희가 그런 건 지원해 줄 수 있죠. 그런 차원에서 종합상황실을 하는 거지. 단지 저희는 인도적인 차원에서 그분들이 거처가 뭐하다고 하면 행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은 지원하겠다는 거죠. 그런건 유관기관의 협조를 통해서 종합사무실을 운영하겠다는 거죠. 다 아시다시피 난민 신청 업무가 난민으로 인정된 사람 한에서는 저희가 지방사무라고 그때부터는 지방 사무인데 난민 신청까지는 국가 사무라고 하더라고요.

예멘 난민 문제를 두고 찬반 논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보다 근본적이고 뚜렷한 대책이 시급해보입니다.

(영상취재/편집: 황지연 기자)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