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능산리 고분군 조사지점과 전경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7.4
부여 능산리 고분군 조사지점과 전경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7.4

왕릉급 무덤 4기, 건물지 확인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부여 능산리 고분군이 일제강점기인 1917년 이후 100년만에 재조사가 완료됐다.

4일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부여군(군수 박정현)과 함께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으로 추진한 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제14호)의 서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완료했다.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능산리산(陵山里山)의 남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3개의 군집을 이루고 있다. 위치에 따라 각각 중앙고분군(왕릉군), 동고분군, 서고분군으로 불리며 지난 일제강점기에 세 차례에 걸쳐 조사가 진행돼 15기의 무덤을 확인했다. 이후 중앙고분군의 정비복원 과정(1965~1966년)에서 2기의 무덤이 추가로 확인했으며, 현재까지 모두 17기가 남아 있다.

3호분 전경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7.4
3호분 전경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7.4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2016년 6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펼친 서고분군 4기에 대한 것”이라며 “1917년 일제강점기 이후 100여년 만에 펼친 조사”라고 밝혔다. 백제 사비기 왕릉급 무덤의 입지와 조성과정, 초석건물지와 주거지 등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는 성과를 올렸으며, 특히 고분군 내 건물의 존재는 삼국 시대 고분군에서 아직 확인된 바 없는 새로운 것으로 주목된다.

서고분군은 능선을 따라 위아래로 2기씩 배치돼 있는데, 중앙 능선에 2‧3호분이, 동편 능선에 1‧4호분이 있다. 4기 모두 지하 깊숙이 조성된 굴식돌방무덤으로 확인됐다. 무덤의 평면은 현실(玄室, 시신이 안치된 방) 중앙에 연도(羨道, 고분의 입구에서 유골을 안치한 방까지 이르는 길), 묘도(墓道, 고분의 입구에서 유골을 안치한 방까지 이르는 길)가 차례로 달려 ‘갑(甲)’자 모양이며, 잘 다듬은 판석으로 만들어졌다.

무덤의 크기는 봉분 주위를 둘러싼 둘레돌(護石)로 추정해보면 2‧3호분은 지름 20m 내외, 1‧4호분은 지름 15m 내외이다. 2‧3호분과 1‧4호분은 석실의 규모, 석재의 가공 정도, 입지 등에서 차이를 보여 위계 차를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물은 도굴과 일제강점기 조사로 인해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다만 2호분의 돌방 바깥의 도굴구덩이에서 도금된 금송제(金松製) 목관 조각과 금동제 관못, 금제장식 등이 발견됐다. 3호분과 4호분에서는 목관에 사용된 금동제를 포함한 관고리와 관못이 확인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