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인상 높아… 변수는 신흥국
유럽은 이탈리아발 남유럽 리스크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세계 경제 흐름을 주도하는 ‘빅3’인 미국과 유럽, 일본의 중앙은행이 이번 주 연달아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를 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유럽중앙은행(ECB)도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깜빡이를 켜고 글로벌 긴축 대열에 동참할 것으로 관측되는 분위기다. 곧이어 열리는 일본은행(BOJ)과 영란은행(BOE)도 돈 풀기 정책의 출구전략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최근 연준이 금리 인상에 가속 페달을 밟을 것이란 전망은 최근 미 경제 지표가 부쩍 탄탄해졌다는 자신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변수가 없는 것은 아니다. 4월 중순 불거진 신흥국 통화 위기가 아르헨티나를 시작으로 멕시코, 터키, 인도, 인도네시아 등으로 퍼지고 있기 때문. 연준의 금리 인상은 이들 신흥국에서 외국인 투자가 빠져나가고 현지 통화 가치를 곤두박질치게 하는 초대형 악재다.

미국에 이어 ECB도 14일 통화정책을 결정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ECB가 양적 완화(QE)의 출구전략에 관한 포워드 가이던스(선제 안내)를 내놓을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ECB는 2015년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현재도 매월 300억 유로의 채권을 사들이며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경기를 부양하고 있다.

ECB 또한 최근 경지 지표 호조에 주목하고 있다. 유로존 인플레이션은 지난달 1.9%로 치솟아 목표에 근접했고, 1분기 경제성장률도 전년비 2.5%로 집계됐다. 이 때문에 ECB가 14일 열릴 회의에서 테이퍼링(양적 완화 축소)의 신호탄을 쏘아 올릴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오는 9월 자산 매입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이를 연장하지 않는 방식이다.

여기 역시 변수가 있다. 이탈리아의 정치 불안에서 시작된 남유럽 리스크가 그것. 유로존 3번째 경제국인 이탈리아에서 국채 금리가 폭등하며 불확실성이 커진 점이 유럽 다른 나라로도 불똥을 튀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따라서 ECB가 ‘긴축 깜빡이’를 켜는 시점을 7월로 미룰 것이란 관측도 있지만 ECB 내부에서는 6월설에 힘을 싣고 있다.

15일에는 금융 시장의 시선이 일본으로 옮겨간다. 일본은 미국·유럽과 달리 경기회복이 부진하고 인플레이션이 높지 않기 때문에 미국·유럽과는 상황이 다소 다르다. 따라서 이번 회의에서 긴축 신호가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으며 BOJ가 경기 흐름을 주시하면서 당분간 완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을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은 오는 21일 통화정책 회의를 연다.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 동결이 점쳐지긴 하지만 내부에서는 출구전략에 대한 고민이 제기된다. 앞서 BOE는 지난해 11월 기준 금리를 0.25%에서 0.5%로 올리면서 10년 만의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