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찬일 (사)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이미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진 리비아 독재자 카다피도 무척 핵을 갖고 싶어 했다. 그가 처음 핵에 손댄 건 1973년이다. 쿠데타에 성공한 지 4년, 서른한 살 때다. 카다피는 파키스탄과 손을 잡았다. 초보적인 핵기술이 흘러들어 갔다. 얼마 뒤 파키스탄 총리 실각으로 끝을 보지는 못했다. 1987년 카다피는 화학가스 같은 대량살상무기 시설도 지었다. 이때도 핵무기를 꿈꿨다. 2000년대 들어와 카다피는 중국·북한과 가까워진다. 중국의 장쩌민 주석이 2002년 4월 리비아를 찾았다. 카다피는 2003년 이라크가 미군에 점령당하는 것을 보고 미국과 대적해서는 좋을 것이 없다는 판단을 내린다. 2003년 12월 원자로 폐쇄, 핵무기 포기를 선언했다. 대미(對美) 관계도 정상으로 돌아왔다. 

블레어 영국 총리가 리비아에 오고, 카다피가 EU 본부와 벨기에를 답방하는 놀라운 일들이 벌어졌다. EU는 곧 제재를 풀어줬다. 카다피·블레어는 사적(私的)인 우정까지 과시했다. 그러나 2011년 북아프리카에 불어닥친 ‘민주화의 봄’ 바람은 41년 독재자 카다피를 비켜가지 않았다. 트리폴리가 반군 수중에 떨어지자 카다피는 서부로 도망쳤다. 과도정부에 정권을 넘기겠다고 제안하지만 거절당한다. 반군 폭격이 두려워 매일 밤 잠 자리를 옮겨 다녔다. 그해 10월 20일 자레프 계곡으로 가던 카다피 일행 차량이 공습을 받았다. 혼비백산한 카다피는 배수로에 숨어 있다가 반군에게 발각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회담에서 북핵 합의가 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 섬멸됐던 리비아 모델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우리는 들어가서 그를 없앴고, 우리는 같은 것을 이라크에서 했다”고도 덧붙였다. 카다피의 최후에 미국이 뒤에서 무슨 역할을 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를 없앤 것은 리비아 시민 봉기였지 미국이 아니었다. 트럼프는 리비아 사태를 정확히 모르고 있을 수도 있다. 트럼프는 ‘구체적 사실’엔 관심이 없는 사람이다. 반군은 카다피를 붙잡는 장면을 휴대폰 동영상으로 찍었다. 꼬챙이 같은 것으로 카다피 몸 여기저기를 찔러댔다. 픽업트럭에 실으려던 그의 몸뚱이가 반쯤 벗겨진 채로 내동댕이쳐지기도 했다. 카다피의 최후는 김정은의 ‘악몽’일 것이다. 카다피가 김정은처럼 핵을 갖고 있었어도 최후를 피할 수 없었다.

돌이켜보면 이탈리아는 1900년 의화단의 난을 제압하기 위해 북경에 진입한 8개국 열강의 하나였지만, 식민지 쟁탈전에 늦게 뛰어 들어서 영국 불란서와 달리 식민지가 없었다. 이탈리아 통일은 1861년에야 이루어졌는데 그때까지 베니스, 제노아 사람만이 존재했고 이탈리아 국민이라는 의식이 희박했다. 1986년 4월 미국은 리비아를 공습했다. 서베를린의 미군 디스코 테크에서 일어난 폭탄테러 배후에 리비아의 카다피가 연관돼 있음이 드러나자 레이건은 카다피를 응징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레이건은 영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F-111 전폭기를 리비아 공습에 참가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줄 것을 요청했는데, 대처는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 요구를 받아들였다. 야당은 리비아에 대한 응징이 피의 보복의 악순환을 가져오지 않을까 우려했는데, 리비아에는 5천의 영국인이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프랑스는 미군 전폭기가 프랑스 영토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치 않았고, 스페인은 미군기가 영공을 통과하는 것은 허락하되 이 사실이 언론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는 사실상 수용 불가능한 조건을 달았다. 영국기지에서 발진한 전폭기는 지브롤타 해협을 통과해 리비아를 공격했다. 

사막에 텐트를 쳐놓고 피해 다니던 카다피를 CIA는 용케 찾아냈다. 카다피는 겨우 폭살을 모면했으나, 입양된 딸은 숨졌다. 이후 카다피의 국제 테러 지원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처럼 영국과 미국의 동맹관계가 강고함은 우리가 배워야 한다. 백악관은 16일(현지시간) 북핵 문제 해결과 연관해 ‘리비아 모델’이 아닌 트럼프식 정책을 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CNN 등에 따르면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리비아 모델이 우리가 사용하는 모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언급했다. 이어 샌더스 대변인은 “북핵 협상은 ‘틀(cookie cutter)’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우리가 따르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움직이고 있다”면서 “그는 최고의 협상가이며, 우리는 이를 100% 확신한다”고 부연했다. 이제 북미정상회담은 약 20일 눈앞에 다가오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앞뒤 돌아보지 말고 모처럼 찾아온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