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환수된 봉은사 시왕도(2, 4대왕). (제공: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미국에서 환수된 봉은사 시왕도(2, 4대왕). (제공: 국외소재문화재재단)

1점 낙찰… 4점 모두 국내 존재

[천지일보=이지솔 기자] 1950∼1960년대 외국에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후기 불화 ‘봉은사 시왕도(十王圖)’ 한 점이 경매를 통해 돌아왔다. 시왕도는 저승 세계를 관장하는 10대 왕의 재판 광경과 지옥에서 고통 받는 망자를 묘사한 그림이다.

대한불교조계종은 환수한 봉은사 시왕도 중  마지막 한 점을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공개했다.

한 점이 귀환하면서 봉은사 시왕도 네 점 일체가 모두 국내에 존재하게 됐다. 나머지 세 점 중 두 점은 동국대 박물관, 한 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시왕도도 1990년대 미국 경매에서 구매한 유물로 알려졌다.

동국대 박물관이 소장한 봉은사 시왕도 화기에 따르면 이 불화는 건륭 42년(1777) 경기도 일대에서 활동한 승려화가 인종, 수밀, 영인, 도준, 상훈 등이 ‘삼장보살도’ ‘사자도’와 함께 봉은사에서 제작했다.

그림 크기는 가로 148.3㎝ 세로 114.8㎝다. 일반적인 시왕도의 경우 위에는 시왕이 판관과 사자, 옥졸을 거느리고 재판을 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고 아래에는 망자가 벌을 받는 장면이 1폭씩 분리돼 그려져 있는 반면 봉은사 시왕도는 칸을 분리하지 않고 2존 또는 3존의 대왕이 심판하는 모습을 나란히 그렸고, 아래쪽에 지옥장면을 그리는 독특한 구도로 돼있다.

봉은사 시왕도 환수 과정은 지난달 13일 조계종이 공개한 ‘청도 운문사 칠성도(七星圖)’와 비슷하게 외국에 있는 우리 문화재를 조사·환수하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조계종, 봉은사 협업으로 진행됐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4월 중순 봉은사 시왕도가 미국 경매에 출품된 사실을 파악해 조계종에 알렸다. 이 그림은 운문사 칠성도와 달리 정보를 담은 화기(畵記)와 장황이 사라진 상태였다.

조계종은 불화 구도와 양식을 검토해 동국대 박물관에 있는 봉은사 시왕도와 일체를 이루는 유물임을 확인했고, 환수 추진단을 구성해 지난달 24일 경매에서 사들였다.

공개식에서 조계종 총무원장 설정스님은 “빼앗긴 성보문화재를 제자리로 돌려놓는 것은 무엇보다 소중한 일”이라면서 “성보문화재를 제자리로 돌려놓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앞으로 성보문화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계속해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봉은사는 시왕도가 돌아왔음을 알리는 고불식(告佛式)을 연 뒤 서울 강남구 봉은사 법왕루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이후 다른 시왕도와 함께 봉안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