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사태 이후 사실상 네이버에 종속돼 있던 언론들이 네이버 권력을 토로했다. 그 방안으로 뉴스를 네이버에 가두는 인링크 방식에서 아웃링크로의 전환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런 여론에 따라 9일 네이버가 간담회를 열고 대책을 발표했지만 내용은 먹을 것 없는 소문난 잔칫집 같았다. 가장 관심이 모아졌던 아웃링크로의 전환은 ‘아웃링크 선택’ 기회를 준다는 것이어서 사실상 무용지물이다. 

매일 3000만명 이상이 네이버를 통해 정보를 확인한다. 이들은 네이버 안에서 뉴스를 보는 인링크 방식에 익숙해져 있다. 한 때 네이버의 인링크 방식에 반발한 조중동 등이 아웃링크 방식을 택했지만 결국 백기투항한 전력이 있을 정도로 인링크와 아웃링크는 경쟁이 되지 않는다. 이는 인링크 방식을 통해 더 많은 접속이 이뤄진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왜 언론들은 네이버의 인링크 방식에 반발하는 걸까. 그건 네이버의 ‘편집질’에 의해 여론이 호도되고, 주요뉴스는 갑자기 사라지는 등 ‘언론 위의 언론’ 네이버를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대책에서 네이버는 ‘편집에서 손 뗀다’ ‘실검도 안 보이게 한다’고 했다. 그러나 좀 더 보면 첫 화면에서 안 하고 둘째 화면에서는 다 한다는 얘기다. 또 AI를 통한 편집을 말했지만 우선순위에 배치되는 알고리즘도 알 수 없어 신뢰가 안 간다. 

이번 네이버의 ‘선택적 아웃링크’는 언론들에게 ‘해볼 테면 해보라’는 협박이나 다름없다. 결국 뉴스장사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언론들도 기존의 ‘네이버 하청업체’격인 네이버 뉴스환경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얘기다. 만약 이런 환경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차라리 네이버에 언론들에게 요구되는 책임을 지우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명예훼손 등의 글이나 댓글 등을 삭제하도록 의무화하고 오보가 노출되면 법적 책임을 지우는 등의 말이다. 그럴 것이 아니라면 네이버 스스로 ‘언론 아닌 척 언론 행세’를 하는 지금의 인링크 방식을 포기해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