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교수회관에서 열린 삼성 옴부즈만 위원회 종합진단 보고회에서 이철수 위원장이 삼성전자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의 직업병 관련 조사·진단 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25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교수회관에서 열린 삼성 옴부즈만 위원회 종합진단 보고회에서 이철수 위원장이 삼성전자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의 직업병 관련 조사·진단 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과 근로자 산업재해 문제해결을 위해 출범한 삼성옴부즈만위원회(위원장 이철수, 서울대 법대 교수)가 2년여에 걸친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25일 삼성옴부즈만위원회는 서울대 교수회관 컨벤션홀에서 종합진단 보고회를 열고 “작업 환경과 질병 간 관련성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결과를 발표했다. 그러면서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화학물질 공개 문제에 대해서는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밝힐 수 없기 때문에 화학물질 리스트를 더 광범위하게 공개하고 질병의 인과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장기적인 시스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철수 위원장(서울대 법대교수)은 “지금까지 기업들이 영업기밀을 이유로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던 경향성을 차단해야 한다”며 “영업기밀이라 하더라도 가능하면 더 많은 것을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화학물질 리스트”라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작업환경 측정보고서는 제품, 공정 등 다른 내용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권한이나 판단 능력 밖”이라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향후 반도체 공정과 질병 발생 간의 관련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삼성전자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 사업장 재직자뿐 아니라 퇴직자와 보상대상자를 포함한 코호트 연구(전향성 추적조사)를 구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 2차 자료와 연계해 작업환경 유해인자 노출과 특정질병발생 및 사망위험 간의 관련성을 장기적으로 추적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앞서 위원회는 반도체 근로자의 작업환경 노출과 질병발생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메타분석을 진행했다. 이번 종합진단은 조정합의서에 따라 ▲작업환경 중 유해인자 관리실태 평가 ▲작업환경의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조사 ▲종합건강관리체계 점검 ▲재해예방을 위한 사업장 미래전략 연구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공개와 안전보건관련자료 보관에 관한 연구의 5개 주제로 나누어 실시됐다.

위원회는 이 결과 “통계의 유의성 및 연구 간 이질성 등의 문제로 반도체 근로자들과 상기 질병 간 관련성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이용한 노출평가는 한계가 있다”며 “근로자의 직무력과 작업환경 측정 결과를 연결하는 직무노출매트릭스(JEM)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사에 참가한 박수경 서울의대 교수는 “이번 조사 계기가 된 (산업재해) 사건은 1997년에 일어났는데 작업장에 가봤더니 과거 상황을 파악할 수 없었다”며 “만날 수 있는 대상도 제한적이었다”고 토로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최근 3년간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분석한 결과 사업장별 유해인자 불검출률은 기흥/화성 79.9%, 온양 71.6%, 아산 73.0%로 나타났다. 검출된 유해인자 중에서도 법적 노출허용 기준의 10%를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 삼성 자체 조사결과를 사용한 것과 관련해 지적이 일자 삼성전자 관계자는 “내부 직원이 측정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건 전문 측정기관에서 진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반올림 관계자가 “그 기관은 사업자가 지정한 게 아니냐”고 받아치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위원회가 웨이퍼 제조 포토 공정에서 사용되는 감광액 용액 중 벌크시료 54개를 선정해 25종의 유해화학물질 검출여부를 직접 분석한 결과에서도 벤젠, 에틸렌글리콜류 등 16종은 불검출됐다. 톨루엔이나 크레졸-오쏘 등 9종의 유해물질은 검출됐다. 위원회는 “하지만 검출된 물질은 극미량 수준의 농도이므로 인체 유해성 판단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유지보수 작업환경에 대해서는 “유지보수 작업 시 공기 중 화학적 유해인자와 전자파 노출을 직접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유해인자가 검출되지 않았다”며 “검출된 경우에도 기준 대비 극미량이었다”고 밝혔다. 방사선 설비관리 실패와 방사선 피폭 가능성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원자력안전법의 안전관리 기준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옴부즈만위원회는 2016년 1월 삼성전자와 삼성직업병 가족대책위원회, 반올림의 합의에 따라 만들어진 삼성전자 작업장의 직업병 관련 조사·진단·예방을 논의하기 위한 독립기구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