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조계사 생전예수재 49재 기도 회향식이 열리고 있다. (출처: 뉴시스)
2015년 11월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조계사 생전예수재 49재 기도 회향식이 열리고 있다. (출처: 뉴시스)

전통의례 방식 떠나 의미 퇴색
“불교 문화재 계승 위해 시연”

[천지일보=이지솔 기자] 불교 3대 의례 중 하나인 ‘생전예수재’가 오는 7일 오전 서울 강남 봉은사 경내에서 시연된다.

이날 생전예수재는 ‘신중작법’과 ‘괘불이운’ 등 불교전통의례 원형을 그대로 계승한 형태로 조계종 어산어장 인묵스님과 어산작법학교 교장 법안스님 집전으로 약 8시간에 걸쳐 봉행된다.

생전예수재는 음력 윤달에 많은 사찰에서 진행하고 있으나, 본래의 전통의례 방식을 떠나 간소화되거나 잊혀지면서 그 의미가 점점 퇴색되고 있다.

이에 봉은사는 서울시 중요무형문화재 추진과 불교 문화재의 계승을 위해 사단법인 ‘생전예수재보존회’를 설립하고 지속적해서 전통의례 연구와 생전예수재를 진행하고 있다.

49재나 수륙재(水陸齋)가 죽은 자의 명복을 빌고 그 고혼이 극락왕생할 수 있도록 하는 불교의식이지만, 예수재(預修齋)는 불교에서 살아 있는 동안에 공덕을 미리 닦아 사후에 지옥 등 고통의 세계에 떨어지지 않고 극락에 왕생하고자 하는 신앙에 따른 불교의식이다.

우리나라에서 이 의식이 언제부터 행해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문헌에 따르면 우리나라 생전예수재는 시왕신앙이 활발했던 고려시대부터 시작돼 조선중기에 성행했다. 현존하는 문헌에서 최초로 기록돼 있는 것은 조선후기 ‘동국세시기’로 경기도 광주 봉은사, 즉 현재 서울 봉은사가 최초로 예수재를 설행했다고 기록돼 있다.

이 의식은 ‘예수시왕생칠재의(預修十王生七齋儀)’라는 의식집에 근거를 둔 것으로 중국에서 발생한 도교의 시왕신앙(十王信仰)을 불교에서 수용하면서 비롯된 것이다. 다만 ‘고려사’에 시왕신앙의 흔적이 보이고, 고려 후기에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가 많이 도설(圖說)되고 있었던 것으로 고려시대에 시왕신앙이 유행한 것과 더불어 예수재도 행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