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제주 4.3 70주년 학술세미나-미군정·정부수립기 불교의 사회 참여 활동과 수난’을 진행했다. 한금순 교수가 발제하는 가운데 발제자들이 신중하게 설명을 듣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3.15
14일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제주 4.3 70주년 학술세미나-미군정·정부수립기 불교의 사회 참여 활동과 수난’을 진행했다. 한금순 교수가 발제하는 가운데 발제자들이 신중하게 설명을 듣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3.15

피해 승려 16명 사찰 총 37곳

“제주 현안 깊숙이 참여 ‘수난’”

[천지일보=강수경 기자] 희생자 1만 4231명을 발생시킨 시대의 아픔 제주 4.3사건. 올해는 사건 발발 70주년으로 종교계가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불교계도 당시 승려·사찰 등 제주 불교계 피해 상황을 역사적으로 재조명하고 나섰다.

14일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는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제주 4.3 70주년 학술세미나-미군정·정부수립기 불교의 사회 참여 활동과 수난’을 진행했다. 이날 제주대학교 사학과 외래교수인 한금순 교수는 ‘제주 4.3항쟁과 제주불교의 수난’을 주제로 주제발표에 나서 당시 불교계 피해상황을 정리했다. 발제에 따르면 제주 4.3 시기 근대 제주불교 활동을 주도했던 제주도의 승려들이 대거 희생됐다.

14개 사찰 소속 16명의 승려가 피해를 당했다. 총살이 10명, 수장 2명, 고문 후유증 사망 1명, 일본 도피 1명, 행방불명 2명 등이다. 한 교수는 제주 4.3 시기 제주불교계가 제주 사회 현안에 깊숙이 참여해 활동했기 때문에 수난을 당했다고 봤다.

사찰 37곳도 피해를 입었다. 사찰 내 법당과 요사채, 객사 등 사찰 내 건물 피해를 위주로 조사됐다. 검증이 어려운 불상 등 피해는 집계되지 않았다. 현재 제주도에 제주 4.3 이전부터 봉안했던 불상과 탱화를 보유하고 있는 사례가 매우 드문데, 이는 당시 피해가 상당했다는 점을 방증한다. 한 교수는 소개령으로 피난할 때 불자들은 불상 등을 끌어나거나 등에 업어서 옮겨 다녔다는 증언이 있다고 설명했다.

건물 피해는 1개소를 제외하고 모두 군과 경찰, 서북청년단으로 구성된 토벌대에 의해 자행됐다고 했다. 피해는 토벌대의 무자비한 학살과 방화가 이뤄졌던 초토화작전 시행 시기로 1948년 11월경에서 1949년 2월까지 발생했다.

당시 전소된 사찰은 18개소, 일부만 탄 곳이 2곳이다. 사찰을 사용할 수 없게 하기 위해 지붕과 벽을 허무는 등 파옥된 곳도 10개소로 집계됐다. 전소한 후 토벌대의 주둔소로 활용된 사찰도 있었다.

14일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제주 4.3 70주년 학술세미나-미군정·정부수립기 불교의 사회 참여 활동과 수난’을 진행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3.15
14일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가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제주 4.3 70주년 학술세미나-미군정·정부수립기 불교의 사회 참여 활동과 수난’을 진행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2018.3.15

◆제주 4.3사건은?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제주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한 사건’으로 정의돼 있다.

제주 4.3사건 당시 무장대와 토벌대 간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희생된 주민은 3만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4.3사건 진상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희생자의 80%가 토벌대에 의해 학살됐고, 이승만 대통령의 강경진입이라는 국가 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이었다고 규정돼 있다.

토벌대의 구성은 육지부에서 제주도로 파견된 응원경찰 즉 전남경찰 전북경찰 경기경찰 철도경찰과 대한민국 육국 제9연대와 제2연대 등이 있었다. 여기에 군과 경찰복을 입고 등장한 서북청년회가 포함됐다. 토벌대와 대치한 무장대는 무장한 제주도민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토벌과정에서 무장하지 않은 제주도민들도 무차별로 학살됐다는 설명이다.

4.3사건의 시발점은 1947년 3.1사건이다. 전국적으로 미소공동위원회 속개와 언론집회 자유 등을 주장하며 3.1절 기념행사가 진행됐고, 제주도에서도 북국민학교에 주민 3만명이 모였다. 행사 후 주민들은 시위에 나섰고, 기마경찰의 말발굽에 어린이가 다치게 됐는데 방치하고 지나가자 군중들은 화가 나서 돌을 던졌다. 무장 경찰은 주민들을 향해 총격을 가했고, 아이를 업은 여인과 어린이 등 6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을 당했다.

미군정과 경찰은 시위 주동자 검거에 나섰다. 이에 대항해 주민들은 ‘제주도 3.1사건대책 남로당 제주도위원회 투쟁위원회’를 조직했다. 3월 10일에는 제주도 내 직장인 95%인 166개 민관 단체 총파업이 실시됐다. 미군정은 육지부의 응원경찰과 군을 제주도에 투입해 파업 직장의 간부들을 연행해갔다. 이듬해인 1948년 2월 남한 단독선거안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고, 남조선노동당은 전국 총파업을 주도했다.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이 무장 봉기했다. 350명의 무장대는 경찰서와 서북청년회 숙소 등 우익단체 요인의 집을 지목해 습격했다. 5.10선거에 대한 거부 표출이었다. 미군정은 이를 미군정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했고,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제주도에 파견된 9연대장은 해안선으로부터 5㎞ 이상 들어간 중산간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배로 간주해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을 발표했다. 이후 100여곳의 중간산 마을이 불에 탔다.

미군 정보보고서에서는 “마을 주민에 대한 ‘대량학살계획’을 채택했다”고 적었고, 군 내부에서는 ‘초토화작전’으로 불렸다.

이 초토화작전에 의해 1948년 10월 말부터 1949년 3월까지 집중적으로 토벌대에 의한 집단 학살이 행해졌고, 4.3사건 희생자 3만여명 중 대부분이 이때 희생된 것으로 보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