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대북압박' 공조..中 맞불작전

(서울=연합뉴스) 사상 첫 한.미 외교.국방장관 회의(`2+2' 회의)를 앞두고 한반도 정세가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한.미 양국이 2+2 회의를 고리로 대북 압박을 겨냥한 '위력 과시'에 나서자 이에 중국도 군사훈련과 관영언론을 통해 맞불작전을 펴는 양상이다.

천안함 사건이 몰고온 '한랭전선'이 동북아 외교.안보 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음을 상징화하고 있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우선 한.미 양국은 강력한 대북 압박모드로 돌아서고 있다. 특히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한 군사적 위용을 과시하는데 가용한 역량을 집중하는 모습이다.

미 해군 7함대 소속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9만7천t급)가 2+2 회의 당일 부산항에 입항한다. '떠다니는 군사기지'로 불리는 미국 최대 항모인 조지 워싱턴호의 입항은 그 자체가 강력한 대북 메시지로 평가되고 있다.

항모전단 소속 이지스 구축함인 매캠벨호와 존 매케인호, 라센호도 함께 훈련에 참여한다.

한반도 상공에는 미국의 최신예 전투기인 F-22(랩터)와 한국의 차세대 전투기인 F-15K와 KF-16 전투기 등 30여대가 배치돼 해상작전을 지원한다.

앞서 우리 군은 지난주말 사정거리 1천500㎞의 순항 미사일인 '현무-3C'의 개발과 실전배치 계획을 공개했다. 북한 전역은 물론 베이징(北京)을 비롯한 중국내 주요도시들까지 우리 군의 사정거리에 들어와있음을 대외적으로 과시한 셈이다.

한.미 양국의 이 같은 대북 압박모드는 외교적으로도 투영되고 있다. 미국 행정부의 고위관리는 19일 대북 특사설이 나돌던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지사의 방북에 대해 "미 정부차원에서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6자회담 재개에 대해 "북한으로부터 봐야만 하는 분명한 조치들이 있다"고 북한의 태도변화가 전제조건임을 명시했다.

한.미 외교.국방장관들은 21일 2+2 회의에서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북한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하고 6자회담 문제는 가급적 부각시키지 않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할 방침이다.

한.미의 움직임에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전례없는 서해상에서의 전시 긴급해상 수송훈련을 실시한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는게 외교가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인민해방군 총후근(병참)부와 국가교통전쟁준비판공실, 군사교통운송부는 민관 합동으로 17, 18일 산둥(山東)성 옌타이 앞바다에서 지난군구 명력이 참가한 가운데 병력 구조와 무기수송 훈련을 벌였다. 신화통신은 "중국군이 황해(黃海)에서 전시 해상수송 훈련을 실시한 것은 처음"이라고 평가했다. 중국군은 특히 이례적으로 이 같은 정규훈련 사실과 장면을 신속하게 공개했다.

이는 군사.외교소식통들 사이에서는 한.미 해상 합동훈련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해석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입'인 관영언론도 심상찮은 논조를 보이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19일 한국의 순항미사일 개발 사실을 전하며 "한국이 몰래 칼을 갈아온 것이 증명됐다"며 "한국이 천안함 사건을 핑계로 감히 뛰어들지 못했던 금지구역에 뛰어들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 주요도시까지 사정거리에 두고 있다는 사실에 자극받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2+2' 회의를 앞두고 조성되는 한.미와 중국간의 긴장기류는 서로 일회적인 위력과시의 성격을 띠고는 있으나 '포스트 천안함' 이후의 변화된 동북아 외교.안보환경과 맞물려 자칫 고착화된 갈등양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특히 이면에는 서태평양 해역을 중심으로 미.중간의 군사적 대치구도가 자리하고 있는 점이 주목되고 있다.

침묵을 지키고 있는 북한의 '다음 수순'은 상황을 어디로 튈지 모르게 만들 예기치 못할 변수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세계정세를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이 내부적인 'G2 컨센서스'에 따라 적절한 시간이 흐른 뒤 6자회담을 장으로 하는 새로운 국면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전망도 혼재하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