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9년 능산리 절터 조사에서 수습한 직물(폭 2cm, 길이 약 12cm의)이 면직물로 확인됐다.

[천지일보=백은영 기자] 고려말 때인 14세기 후반 문익점이 붓 뚜껑에 넣어 들여와 시작됐다는 한국 면직의 역사가 무려 800년이나 앞당겨질 전망이다.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을 기획 전시 중인 국립부여박물관은 최근 전시 유물을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지난 1999년 능산리 절터 조사에서 수습한 직물(폭 2cm, 길이 약 12cm의)이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박물관 측은 한국전통문화학교(심연옥․정용재 교수)팀과 함께 첨단 기자재인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한 종단면 관찰 결과 면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됐다고 전했다.

그동안 실물을 통해 확인된 국내 최고(最古)의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은 직물로, 제작 시기는 고려말 공민왕 때로 추정됐다.

하지만 능산리 절터에서 출토된 면직물이 567년 백제 창왕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자 박물관 측은 (이 면직물이) 문익점이 중국에서 들여온 목화보다 무려 800년을 앞선 것으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면직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번 면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물 직조법과는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방식의 직물로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성과는 오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보고될 예정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