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2 회의' 이어 ARF서 가닥 잡힐 듯

(서울=연합뉴스)  `포스트 천안함' 국면에 접어들자 북핵 6자회담 재개 여부가 외교가의 핵심화두로 떠올랐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물론 북한이 적극적으로 나오고 있다.

중국은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직후인 9일 내놓은 성명에서 천안함 사건을 신속하게 매듭짓고 6자회담 재개를 촉구한 데 이어 13일 친강(秦剛) 외교부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거듭 요구했다.

북한 역시 10일 외무성 대변인이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문답을 통해 "평등한 6자회담을 통해 평화협정 체결과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일관하게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북한의 공세 속에 정부 내부에서도 미묘한 변화의 흐름이 감지된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11일 기자들에게 "북한이 먼저 천안함 사건에 대해 사과 또는 잘못을 인정하고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야 6자회담 재개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사과 없이 비핵화에 대한 진정한 의지만 보이면 6자회담을 재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즉답을 피한 채 "중요한 것은 북한이 6자회담에 비핵화에 대한 진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만 답했다.

`북의 사과'를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지 않으려는 정부의 고뇌가 읽히는 부분이다.

외교 소식통은 14일 "정부는 6자회담 재개와 관련, 북한의 사과에 대해 '모호성'을 남겨두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류도 복잡하다.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는 13일(현지시간)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현재 또 다른 추가 (대북)조치가 필요하다고 평가할 시점인지는 모르겠다"면서 "현 시점에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어떤 구체적 조치들을 예상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천안함 사건 이후 그동안 미국 정부 차원에서 검토 중이던 독자적인 추가 대북 제재카드를 당장 꺼내 들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미 양국이 애초 대북 무력시위 차원에서 계획했던 서해상의 대규모 연합 대잠수함훈련의 장소와 시기, 규모 등을 놓고 계속 저울질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6자회담 재개를 둘러싸고 관련국들의 계산과 수싸움이 물밑에서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6자회담 참가국 외교수장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23일 베트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으로 외교가의 관심이 자연스레 쏠리고 있다.

특히 앞선 21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 외교.국방장관 회의에서 양국이 천안함 국면 이후의 '출구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동안 한반도 정세를 동결시켰던 천안함 국면에서 벗어나려는 관련국들의 움직임이 6자회담 재개쪽으로 수렴되는 양상이 펼쳐지고 있으며, 그 속에서 관련국들의 치열한 기싸움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