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서울 노량진에 사육신묘가 있는 것은 매월당 김시습(1435∼1493) 때문이다. 사육신이 충절의 아이콘이 된 것은 추강 남효온(1454∼1492)이 지은 ‘육신전(六臣傳)’에 기인한다.   

1455년 윤6월 삼각산 중흥사에서 과거 시험공부를 하고 있던 김시습은 단종의 양위소식을 듣고 3일 동안 문을 걸어 잠그고 바깥에 나가지 않았다. 세조의 왕위찬탈은 유학사상의 핵심인 왕도정치의 붕괴였다. 주공이 되겠노라고 한 수양대군의 언행은 거짓이었다. 통곡 끝에 그는 책을 불살랐다. 현기증을 느끼고 똥통에 빠졌다.

1456년 6월 단종복위 거사 실패로 육신 등이 체포됐다는 소식을 듣고 김시습은 공주 동학사에서 한양으로 달려갔다. 그는 6월 8일에 군기감 (지금의 서울시청 동쪽) 앞에서 성삼문·유응부·이개·하위지 등이 두 대의 수레로 사지가 찢기는 장면을 지켜보았다. 이미 옥중에서 죽은 박팽년과 집에서 자결한 유성원의 시신이 거열 당한 것도 보았다. 

6월 8일의 세조실록에는 ‘성삼문·이개·하위지·박중림·김문기·성승·유응부·권자신 등이 세조 앞에 끌려와서 국문 당했는데, 세조는 백관들을 군기감 앞길에 모이게 하여 이개 등의 거열형을 보게 하고, 3일 동안 저잣거리에 효수(梟首)하였다. 또한 친자식들도 모조리 교형(絞刑)에 처하고, 어미와 딸·형제·자매들은 변방 고을의 노비로 보내라고 명했다’고 기록돼 있다.   

이렇게 살벌했으니 그 누가 이들의 시신을 수습했으랴.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이때 김시습이 나섰다.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김시습은 성삼문·박팽년·유응부·성승 등 다섯 시신(한 사람은 미상이다)을 수습해 노량진에 묻고 작은 돌로 묘표를 대신했다고 한다.   

한편 추강 남효온은 세상을 떠돌다가 1489년에는 고향 의령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병마로 몸도 가누기 힘든 상태였으나, “내가 죽는 것이 두려워 충신의 이름을 없어지게 할 수 있으랴” 하고 붓을 들었다. 그는 박팽년·성삼문·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의 충절을 기리는 ‘육신전’을 집필했는데, 무오사화의 희생자인 사관 김일손(1464∼1498)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일손의 문집인 ‘탁영선생문집(2012년 간행)’의 ‘탁영선생 연보’에는 “1490년 4월에 남효온이 지은 ‘육신전’ 초안을 사관(史館)과 ‘승정원일기’에 의거해 다시 고쳐짓고 집안에 깊숙이 갈마 두다”라고 기록돼 있다.

1490년 가을에 남효온은 김일손과 함께 삼각산 중흥사에서 김시습을 만났다. 세 사람은 밤새 담소하고 백운대를 올랐으며 닷새 동안 같이 지냈다. 아마 단종과 육신에 대하여도 이야기 했으리라. 

인종 원년(1545년)에 육신은 비로소 실록에 나타났다. 시강관 한주가 조강에서 ‘육신은 대죄를 입어 마땅하나 본심은 충의’라고 한 것이다. 1576년에는 박계현이 경연에서 선조에게 성삼문은 충신이라면서 ‘육신전’을 읽으라고 말했다. 책을 읽은 선조는 망령되이 세조를 욕했으니 책을 모두 불태우라고 했는데 겨우 진정됐다. 이 와중에 백호 임제는 꿈의 형식으로 엮은 정치소설 ‘원생몽유록’을 지었다.   

한편 숙종은 1691년에 사육신을 복작하고 사육신묘가 있는 노량진에 민절서원을 세웠고, 정조는 1782년에 신도비를 세웠다. 

아, 충절의 사육신! 그들은 김시습과 남효온 그리고 김일손에 의해 역사에 길이 남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