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바티칸의 성베드로 광장에 모인 순례객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출처: 교황청 홈페이지)
로마 바티칸의 성베드로 광장에 모인 순례객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출처: 교황청 홈페이지)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교황청과 중국이 수십 년간 갈등을 겪어왔던 주교 서품(임명)을 둘러싼 문제 해결에 상당부분 진전이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수개월 안에 공식 합의에 이를 것이며 양국의 수교가 임박했다는 소식도 들리고 있다.

홍콩 명보(明報)는 4일 “교황청이 최근 중국 정부와 관계 개선을 위해 중국이 자선자성(自選自聖) 원칙에 따라 독자 임명한 주교 7명에 대한 파문을 철회하고, 정식 성직자로 승인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지난 1일(현지시간) 정통한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교황이 중국 정부가 임명한 주교 7명을 받아들여 해당 교구의 책임자임을 승인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교황청과 중국 간의 관계가 정상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WSJ은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가톨릭 신도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중국과 교황청의 관계를 정상화하려는 교황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교황은 2013년 즉위 후 수차례 중국에 가고 싶다는 뜻을 내비치며, 양국 관계 정상화에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황이 교황청과 중국의 화해에 적극적인 이유는 교세 확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중국 내에서 교황을 따르는 지하교회 가톨릭 신자는 1000만~12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중국 안에서 교세를 급격히 확장하는 개신교에 대해서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다. 교황청은 전 세계 인구 60%를 차지하는 아시아 지역에서의 교세 확장에 상당한 관심을 보여 온 게 사실이다.

지난해 말 교황청과 중국 국가종교사무국은 주교 서품 절충안으로 ‘베트남 모델’ 등을 논의하고 이를 잠정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트남 모델은 정부가 교황청에 제출하는 주교 후보자 명부에 대한 동의권을 행사하고 교황청은 결정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교황은 최종적으로 주교를 임명하게 된다.

WSJ은 교황청과 중국이 수교하게 되면, 이 같은 방식으로 주교 서품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중국 관영 ‘천주교애국회’에 대한 반감이 있는 지하교회 신자들의 반발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대주교 출신의 고위성직자 조지프 쩐(陳日君) 추기경은 지난달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교황청이 가톨릭교회를 중국에 팔아넘기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1949년 공산당 정부가 들어선 중국은 1951년 교황청이 대만 정부를 인정하면서부터 양국 사이가 틀어졌다. 이후 중국은 외교 단절을 선언했으며, 천주교애국회를 만들어 주교 임명을 자체적으로 하면서 교황청과 마찰을 빚었다. 교황청은 교황만이 주교를 임명할 수 있다고 보지만, 중국은 이를 내정 간섭으로 간주하고 독자적으로 임명하는 ‘자선자성(自選自聖)’ 원칙을 고수해 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