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수 한체대 스포츠 언론정보연구소장  

 

지난 2014년 소치동계올림픽 시상식에서 쇼트트랙 금메달 3개를 획득한 빅토르 안이 러시아 국기에 예를 표하고 러시아 국가를 부르는 모습은 큰 충격이었다. 빅토르 안이라는 이름의 선수가 한때는 안현수라는 한국 이름으로 한국 쇼트트랙을 세계무대에 빛낸 불세출의 스타였기 때문이었다. 고교시절부터 천부적인 소질을 발휘하며 국가대표로 선발된 안현수는 2006년 토리노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를 따내며 최고의 스타로 화려한 스타덤에 올랐다. 그러나 2010년 말 고질적인 부상으로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탈락한 뒤 소속팀인 성남시청마저 해체되며 오갈 데 없는 신세가 됐던 그는 정상적으로 선수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러시아 빙상연맹의 부름을 받고 한국 국적을 버리고 러시아 국적을 취득했다. 그는 벼르던 소치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하며 러시아가 종합우승을 차지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며 러시아 스포츠 영웅으로 등극했다.

고질적인 한국 빙상의 파벌싸움 때문에 한국 국적을 포기한 안현수가 한때 적성국이기도 한 러시아로 귀화했다는 것 자체는 한국이라는 나라를 날 때부터 운명적으로 생각해온 기성세대에게는 놀랄 만한 일이었다. 그는 국가주의, 민족주의의 이념과 체제를 우선시하는 기존의 사고방식에 일대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인터넷, SNS, 언론 등에서 그의 행동을 비난하기보다는 선수생활에 충실하려는 자세를 격려하고 칭찬하며 그를 영웅으로 치켜세웠다. 빅토르 안은 시대적 변화와 인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절대개인’이 국가보다 앞서며 국가는 ‘절대개인’을 위한 상징적 제도이자 기구로 존재한다는 자유민주주의의 기본적인 인식의 전환이었다. 

안현수 이전에는 국가대표는 국가를 대표해 국위를 선양하며 국가와 민족의 통합적 가치에 부응하는 존재였다. 올림픽, 월드컵,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각 종목의 국가대표는 태극마크를 달고 국가를 위해 맹목적인 헌신과 봉사를 하는 것이 최고의 책무였다. 산업화, 민주화가 이뤄지며 다양한 사회적 욕구가 분출하면서도 91년 탁구, 축구 남북단일팀, 2002년 한·일 월드컵 등에서 국민들이 환호했던 것은 민족의 정체성과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번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국가대표 인식의 틀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느낀다. 형식적인 남북한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에 한국 선수들이 반발하고, 20~30대가 분노를 쏟아냈다. 스키 국가대표 경성현은 대한스키협회의 실수로 올림픽 출전이 무산되자 서울 동부지법에 효럭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했다. 대한민국 선수단 출정식도 참석했던 경성현을 포함한 5명의 선수들은 올림픽 출전규정을 제대로 알지 못한 협회의 실수에 출전이 좌절됐던 것이다. 스피드스케이팅의 노선영은 대한빙상연맹의 행정 착오로 올림픽 출전이 좌절될 뻔했다가 이러한 사실이 언론 등에 의해 알려지면서 최종 엔트리에 겨우 뽑혔다. 국가와 협회라는 권력과 권위에 순종하던 예전의 모습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다.

고스펙을 갖추고서도 취업불안, 고용불안 등으로 시대적 어려움을 겪는 젊은이들은 모든 분야에서 개인적으로 공정한 경쟁을 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페어플레이와 규칙을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는 스포츠에서 올림픽 국가대표가 된다는 건 사회적 대의와 선의를 생각하기 이전에 운동선수들에게는 개인의 의지를 구현시키는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한겨울 추위를 녹여가며 피와 땀과 눈물 등으로 인고의 시간을 견뎌내는 것은 건전한 정신과 육체를 가진 젊은이이기에 가능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