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봉 대중문화평론가

최근 영화 ‘1987’을 관람한 이들은 장준환 감독을 많이 칭찬하고 있다. 영화 1987은 잊혀졌던 1987년 1월 한 대학생의 죽음에서 6월 민주혁명의 광장까지 타임여행을 통해 스토리를 드라마틱하게 그려냈다. 영화는 민주화운동을 하던 이들에게 가장 공포의 공간이었던 1987년 1월 남영동 대공분실을 필두로 윗사람 말 한마디면 사건이 은폐되고 조작될 수 있는 그 시대적 상황을 잘 묘사한다. 이 영화에는 크게 두 개의 세력이 충돌하며 지속적인 서스펜스를 이어간다. 하나는 영원한 권력유지를 꿈꾸고 진실을 덮으려고 한 자들과 나머지는 고문을 당하고 학대를 받아도 진실을 위해 싸우던 자들이다.

영화 1987은 그때의 386세대(80년대 학번, 60년대생) 대학생, 넥타이부대에서 지금은 5060 기성세대가 된 이들에게 향수가 되고 그 시절을 회상하는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영화 속 미장센은 그 시대를 잘 그려내기 위해 다양한 소품과 의상, 로케이션을 활용했다. 거리에는 장발의 남성들, 긴 파마머리 아가씨들, 선데이서울, 하이틴 잡지, 시대의 10대 워너비 아이템이었던 마이마이 카세트까지 투입시키며 자연스러운 현장감을 살렸다.

1987이 관객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이유는 군부독재를 벗어나 민주국가를 만들려고 애썼던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와 인간군상을 풍자하며 그 시대적 배경과 더불어 소시민들의 일상을 리얼하게 그려냈기 때문이다. 1987년 신촌 길거리에 버스를 타고 가다보면, 쉽게 항쟁하는 대학생들을 볼 수 있었고 경찰이 쏜 최루탄 냄새로 많은 시민들이 눈을 막고 코를 막았던 광경을 볼 수 있었다. 물론 많은 시민들은 그 시대 운동하는 대학생들을 보고 손가락질을 많이 했다. “저것들은 공부 안하고 맨날 데모질만 하냐?”부터 넥타이부대에는 “저 빨갱이들, 저러다 찍히면 어쩌려고” 등 1987년 6월 전국 곳곳에서 일어났던 민주화운동은 전두환 정부의 강압적인 통치와 4.13호헌조치에 대항하며 이뤄낸 역사적 성과이기도 하다.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시작으로 영화는 대공수사처장, 검사, 기자, 교도관, 안기부장, 신부, 민주화운동가, 대학생 등의 서사를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캐릭터로 사건들을 조합하고 완성해나간다. 한 동아일보 기자의 양심적 보도로 상호작용을 하던 다른 기자들도 변화되어 가고, 한 교도관의 양심적 행동을 통해 교도소장도 마음의 변화에 직면한다. 학생 민주화운동에 관심이 없었던 꿈 많은 여대생 연희(김태리) 역시 쓰러져가는 외삼촌, 대학 선배의 모습을 보고 격동의 회오리를 겪는다. 연희는 “공부나 할 것이지, 맡은 일이나 할 것이지”라고 푸념하고 무관심했던 당시 시민들, 대학생들을 대표하는 캐릭터로 그려졌다. 아마도 대한민국 국민의 절반 이상은 당시 민주화운동을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연희는 외삼촌 교도관의 진심어린 대항과 ‘심쿵한’ 관계인 대학생 선배(강동원)의 참여로 마음이 흔들리고 변화되어 가는 서사를 리얼하게 묘사했다.

한편 영화 1987은 남성 중심적 영화라는 쓴소리를 듣기도 한다. 적지 않은 수의 여성운동가들이 있었지만, 그들의 존재는 영화 속에 잘 나타나지 않는다. 정치와 사회운동, 8090 민주화운동에 남성들의 주도적 역할이 곳곳에 나타나지만, 그 시대의 여성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권위와 질서, 전통 속에서 약자로 쉽게 변모했기 때문이다.

영화 속에도 그려지는 1987년 6.29선언은 당시 민정당 대표 노태우가 국민들의 민주화와 직선제 개헌요구를 받아들여 발표한 선언이다. 이 선언 안에는 대통령직선제 개헌을 통한 1988년 2월 평화적 정권이양, 김대중의 사면복권과 시국관련사범들의 석방, 자유언론의 창달 등이 포함돼 있다. 영화 1987에 그려졌던 계기적 사건들과 구성점을 통해 관객들은 6.29선언의 배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선언은 민중항쟁에 의한 급격한 변혁이나 지배층에 의한 빠른 개혁과는 달리 양자의 타협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그러나 국민들은 노태우가 전두환 정권의 계승자며, 직선제 개헌을 승부수로 던진 수구의 반격 선언임을 인지하지 못해 ‘또다시 후계자를 선택했을까’라는 질문을 지금도 많은 이들이 던진다.

이러한 결과는 필자가 앞서 말했듯이, 당시 많은 아버지, 어머니들은 민주화운동, 민주항쟁보다는 자식교육, 생업, 먹고사는 문제를 더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지금은 국민들의 의식이 개선되고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영화 1987은 실재했던 이들의 드라마가 가진 생생함에 픽션을 가미해 보는 이들에게 추억과 회상, 아쉬움, 뭉클함을 전달하기에 충분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