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궁우. ⓒ천지일보(뉴스천지)

고종, 원구단에서 황제 즉위… 국호는 大韓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천손(天孫), 즉 하늘의 자손으로 불렸다. 하늘을 향한 간절한 바람과 그리움은 한 나라의 국가(國歌)인 애국가에서도 확연하게 드러난다.

‘하느님(하나님)이 보우하사’라는 말은 종교를 초월해 전지전능한 신(神)이 높은 곳, 즉 하늘에 살면서 인생들의 생사복화를 주관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한민족의 시조로 받드는 고조선의 첫 임금인 단군왕검은 천제(天帝)인 환인의 손자이며, 환웅의 아들로서 하늘을 향해 제사를 지냈다.

천손 단군왕검이 제사를 지내던 곳은 한밝산의 보본단, 묘향산의 단군굴, 강화도 마니산의 제천단(참성단), 황해도 구월산의 어천대 등으로 대부분이 하늘과 가깝다고 생각되는 산에 그 제단이 있었다.

단군왕검 이후 오랫동안 그 명맥이 끊어졌던 천제를 향한 제사는 고종황제(高宗皇帝) 때 와서 부활하게 된다. 이렇게 고종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세운 것이 바로 원구단(圜丘壇)으로 이는 고종황제가 자주 독립에 대한 염원으로 이룩한 ‘민족의 성지’라고 할 수 있다.

1967년 7월 15일 사적 제157호로 지정된 원구단은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단(祭天壇)을 말하는 것으로 일명 원구단(圓丘壇) 또는 줄여서 원단(窩壇)이라고도 한다.

역사문화학교 이홍환(한국 땅이름학회 이사) 대표는 “고종이 황제로 즉위한 다음날 국호를 대한으로 바꾸고, 연호를 광무로 바꾼 사실을 각국 공사관에 통보했다. 참으로 놀라운 개혁이었고 오천년 역사에서 처음 있는 통쾌한 일이 아닐 수 없었다”며 “이는 대한제국이 명실상부한 자주 독립국가임을 당당히 내외에 선포한 쾌거였다. 불과 100여 년 전까지도 조선은 중국 천자의 일개 제후국으로서 조선국왕은 종묘와 사직에 대한 것 이외에는 마음대로 하늘에 제사조차 지낼 수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종은) 명당에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원칙에 따라 둥근 원단을 쌓고 12층계를 만들고 12위를 모셨다”며 “그 뒤 1902년에는 고종황제 즉위 40주년을 기념해서 돌북(石鼓) 3개로 된 석고단도 만들었다. 이 원구단은 공적인 국가의 제단이며 대한제국이 자주국임을 나타내는 가장 신성한 성지였던 것”이라고 원구단의 의미에 대해 말했다.

▲ 원구단 정문. 원구단을 환구단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러한 명칭에 대한 문제도 해결해야 할 것 중 하나라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원구단 회복’과 ‘천제제천권 회복’을 위해 만방으로 뛰고 있는 범민족통일화합운동본부 박영록 총재는 “인간이 하늘과 땅에 보답하고, 바라는 바를 지구상에 이루겠다는 것이 ‘천제(天祭)’로 나타났다”고 입을 열었다.

박 총재는 “하늘의 뜻을 받아서 ‘천리(天理)’가 통하는 하늘과 같은 세상을 현 세상에 만들자, 그것이 바로 원구단에서 천제를 지내면서 바랐던 뜻”이라며 “하루속히 원구단 제천권을 회복해 하늘의 자손으로서 장자민족으로서의 면모를 갖출 것”을 당부했다.

원구단과 석고각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는 박관우 시사칼럼니스트는 “잃어버린 우리의 문화를 찾는 것은 우리의 민족성과 역사를 찾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일제에 의해 파괴되고 우리의 무관심에 의해 잊힌 원구단에 대해 조명하고, 석고각의 행방을 찾는 일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굳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우리의 잃어버린 혹은 왜곡되어진, 때로는 그 의미가 축소된 문화유산을 되찾는 일의 중요성은 누구나 공감하는 일이다.

박영록 총재는 “이러한 일련의 일들이 지난날 외세의 침략과 침탈 속에 빼앗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바로세우는 일이며, 반쪽짜리 육적인 광복에서 정신적으로도 온전한 광복을 맞는 발판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원구단의 의미로 시작된 이번 기획이 고종황제가 만천하에 공포했던 주권을 가진 온전한 독립국, 그 옛날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손민족으로서 하늘 장자권을 회복하는 길에 작으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