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교육감들의 약진이 거세다. 6.2 지방선거에서 곽노현 서울시 교육감 당선자 등 6명의 진보 성향 시․도 교육감이 대거 당선됐다. 특히 서울․경기 교육감 당선자가 진보 성향이라는 점은 파급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수도권은 지방 교육을 선도하는 기준점 역할을 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진보 교육감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 데에는 그간 이명박 대통령식 교육정책이 빛을 발하지 못했던 것이 주 원인으로 작용했다.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정부는 평준화 교육, 입시사정관제, 학원교습시간 등 교육 개혁을 밀어붙였지만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되지는 못했다. 무엇보다도 ‘소통’과 ‘동의’의 과정을 거치지 못했던 ‘불도저식’ 정책 수행이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한나라당과 보수 집권층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신과 보수층의 분열․부패로 인해 진보 진영이 반사이익을 얻은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진보 교육감의 강세로 실질적인 교육 개혁을 바라보는 사람도 더러 있지만, 문제는 정부와 교육청 간 마찰로 인한 교육 파탄이다.

지난 경기 교육감 사례를 보건대 교육부와 교육청의 정책 다툼으로 교육 개혁은 고사하고 운영의 ‘틀’ 자체가 깨질 위기에 처해 있다. 자칫 ‘색깔론’으로 흘러갈 경우에는 좁은 국토에서 상반된 교육정책이 나오는 혼란이 야기될 것이다.

새로운 교육감을 뽑으면서 국민들은 다시 교육에 희망을 걸고 있다. 정부와 교육청 간의 이념 대립의 피해는 결국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수밖에 없다.

진보건 보수건 성향은 중요하지 않다. 이제 남은 것은 죽어가는 교육을 살리는 길이다. 그 대업을 이룰 수 있다면 교육감들은 과감히 기존 성향을 버리고 정부와 화합해야 할 것이다. 정부 역시 밀어붙이기식 정책을 지양하고 동의를 구하기 위해 일선 현장 교사들과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