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오후(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에 마련된 젠호텔 중앙기자실을 방문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아세안 정상회담 등 첫 동남아 순방 성과에 대한 브리핑을 마치고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7박8일 이어진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3개국 순방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오른다.

문 대통령은 협력국 확대를 통한 외교틀 변화와 세일즈 외교를 이번 순방의 최대 성과로 꼽았다. 문 대통령은 지난 14일 필리핀 기자간담회에서 “우선 아세안과의 관계를 대폭 강화하기 위한 신 남방정책을 천명했고, 그에 대한 아세안 각국들의 공감과 지지를 얻었다고 생각한다”면서 “아세안과 2020년까지 교역액을 2000억 불로 늘리기로 합의하는 실리도 얻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실제 문 대통령의 첫 동남아 순방은 이른바 ‘신(新) 남방정책’을 성공적으로 데뷔시켰다는 평가를 얻는다.

4강(미국·중국·러시아·일본) 중심의 외교 틀을 확장해 대(對) 아세안 비전을 알리고, 해당 국가들에게도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냈다는 설명이다. 이에 아세안 비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이 새 정부 과제로 부상했다.

지난 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사람 중심’이라는 아세안과의 공동가치를 기반으로 ‘3P(People, Peace, Prosperity)’를 만들어나간다는 비전을 밝혔다.

이 같은 비전은 아세안 정상회의가 열린 필리핀에서 더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문 대통령은 13일 신 남방정책의 비전과 실행 로드맵을 담은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상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한국과 아세안 협력이 ‘정부 중심’에 치중했었다고 자성하며 ‘사람 공동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인적교류를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임기 내 아세안 회원국 10개국(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말레이시아·싱가포르·브루나이·베트남·라오스·미얀마·캄보디아)을 모두 방문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14일 필리핀 동포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은 “북쪽으로는 러시아와 유럽, 남쪽으로는 아세안와 인도까지 우리의 경제 활동 영역을 넓히면서 다자 안보체제로 나아가기 위한 초석을 다졌다”며 “우리 정부의 사람중심 경제정책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도 실천적 대안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자 안보체제, 즉 위기에 공동 대처한다는 ‘평화공동체’도 아세안 회원국들로부터 지지와 동의를 끌어냈다.

아세안 최대국가인 인도네시아와의 협력 관계에도 큰 진전이 있었다. 문 대통령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 2006년 맺었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켰다.

▲ 문재인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11일 오후(현지시각)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 베트남 다낭의 한 호텔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무엇보다 얼어붙었던 한·중 관계의 복원을 정상 차원에서 공식화한 것이 실질적인 성과로 꼽힌다. 우리 경제와 한반도 안보 상황에 있어서 가시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고 13일에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리커창 총리와 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복원시키기로 합의했다. ’10.31 사드 합의’를 양 정상이 확인하는 자리였던 셈이다. 이는 문 대통령의 12월 방중 정상회담과 각급 차원의 전략대화를 강화한다는 데까지 이어졌다.

지난 10∼11일 APEC 정상회의와 13∼14일 아세안 정상회의에서는 대북제재 강화와 외교적 수단을 통해 북한을 대화의장으로 유도하자는 우리 정부의 북핵·한반도 대응 기조인 ‘평화적 해결’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확산시켰다.

세일즈 외교 역시 하나의 성과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해외에 진출한 대기업의 민원사항을 직접 상대국 정상에게 요청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에게는 국내 기업이 생산한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제외 철회와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수입규제 철회를 요구했으며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에게는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를 언급하며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이용 절차를 간소화해달라는 요청을 전달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