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2차 유엔총회에서 이희범 2018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올림픽 전후로 전쟁 중단 전원 동의
사실상 북한에 협조 촉구하는 의미
‘참가 여부’ 오리무중… 전망 엇갈려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유엔이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전후로 일체의 적대 행위를 중단하자는 내용의 결의를 채택하면서 북한의 올림픽 참가 가능성이 다시 주목되고 있다. 

유엔은 13일(현지시간) 제72차 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평창 동계올림픽 휴전 결의안을 표결 없이 전원 동의로 채택했다. 

이번 결의는 올림픽 회원국들이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 전 7일 전부터 동계패럴림픽 폐막 7일 후까지 유엔 헌장의 틀 내에서 올림픽 휴전을 개별적으로, 또한 집단적으로 준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휴전 결의는 올림픽 기간 일체의 적대 행위를 중단한 고대 그리스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이번 동계올림픽이 남북 군사 긴장이 고조된 한반도에서 열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북한에 보내는 의미가 크다. 

앞서 일부 국가에선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등 도발이 잇따르면서 선수단 안전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북한이 이번 결의를 존중해 협조 의지를 내비칠 경우 이 같은 우려가 상당 부분 불식되면서 올림픽 안전 개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평화 올림픽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선 북한 선수단 참가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현재로선 북한의 반응은 오리무중이다. 북한의 일부 피겨스케이팅 선수가 지난 9월 독일에서 열린 빙상경기에서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긴 했지만, 북한의 명시적인 참가 의사 표시는 아직 없는 상태다.

북한 참가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는 쪽에선 북한의 실익이 별로 없다는 점을 꼽는다. 핵무력 완성을 통한 핵보유국 지위를 최대 목표로 내걸고 있는 북한으로선 다른 사안에 관심을 돌릴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이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는 선수층이 사실상 없다는 점도 거론하고 있다. 

물론 북한의 올림픽 참가 여부가 정치적 판단에 좌우되는 만큼 북한 지도부의 정치적 결단에 따라선 올림픽 참가가 하루 아침에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과거 한국과 북한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개회식을 시작으로 2002년 부산 하계아시안게임, 2003년 아오모리 동계아시안게임,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 2004년 아테네 하계올림픽, 2005년 마카오 동아시안게임,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도하 하계아시안게임, 2007년 창춘 동계아시안게임까지 총 9차례에 걸쳐 공동 입장한 바 있다. 

북한은 가장 최근인 지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 참가하기도 했으나, 선수단 공동 입장은 하지 않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