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편견·감염 관리 불신 우려
전파가능성 낮추는 대책마련 촉구

[천지일보=강병용 기자] 에이즈에 대한 과도한 사회적 편견과 보건소의 감염인 관리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연락두절 감염인’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지적으로 제기돼 관리감독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이 질병관리본부(질본)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10월말 기준으로 최근 1년간 연락불가한 HIV/AIDS 감염인은 총 660명으로 집계됐다.

질본의 최근 5년간 HIV/AIDS 감염인 진료현황에 따르면 2011년 이후 등록된 생존 감염인 중 치료율은 매년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만 795명이 진료를 받았고 이는 등록된 생존 감염인 1만 1440명의 94.4%에 달한다.

연락두절 감염인은 전체 등록된 감염인의 5.5%로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것이 치료를 받지 않는다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다. 다만 현재 HIV/AIDS 진료비는 건강보험에서 90% 지원하고 나머지 10%는 본인부담인데 환자가 지역보건소에 실명 등록할 경우 국비와 지방비를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돼 있다.

일반적으로 HIV/AIDS 감염인 대다수는 실명 등록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보건소와 연락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자신의 신상정보가 드러날까 우려하는 것으로 사회적 편견의 벽이 아직 높아 도움의 손길을 거절하는 상황이다.

현재 HIV/AIDS는 HIV/AIDS는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꾸준히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할 경우 감염 위험이 9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승희 의원은 “에이즈의 경우 치료 및 관리를 통해 전파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됐지만,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바꿀 수 있는 정부대책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며 “에이즈 환자들이 보건소의 관리를 통해 자발적으로 적시에 치료에 참여하고, 전파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김 의원은 “감염인의 건강관리 및 타인의 전파예방을 위해서는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며 “현재 HIV/AIDS 진료비의 90%는 건강보험에서, 급여 중 본인부담금 10%는 환자가 지역 보건소에 실명 등록할 경우 국비와 지방비로 지원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