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서울 서초구 강남의 한 골목에서 푸드트럭 업주들이 영업을 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서울시 푸드트럭 지원책 구멍
트럭도 늘어 매출은 되레 부진

하루 평균 매출 100→50만원
영업장소 생겨도 외진 곳 多
기업형 트럭에 소상공인 ‘울상’

[천지일보=김빛이나·김지헌 기자] 최근 방송과 더불어 ‘청년실업 문제 해결’과 ‘신규 일자리 창출’로 주목받고 있는 푸드트럭의 영업현장에서는 장소허가, 영업신고 등 외부적인 제도개선과 내부 기업형 푸드트럭, 조리·위생·보험 등 내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본지가 만난 서울 서초구 강남 지역의 푸드트럭 업주들과 서면으로 진행한 ‘서울트럭’ 인터뷰 결과, 푸드트럭 업계 활성화를 위해 서울시가 영업장소를 5개소에서 19개소로 늘리고 배정되는 트럭 수도 올렸으나 영업이 잘 되기보다 오히려 어려워졌다.

야시장이나 신규 푸드트럭 영업소에 오는 사람이 한정적이라서 푸드트럭의 증가로 공급은 늘지만 그만큼 수요가 따라주지 않아 영업이 힘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업주들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5개의 장소에 각 30대 정도의 트럭이 상주했고 시즌마켓의 신규트럭 30대까지 합해 모두 180대의 푸드트럭이 운영됐다. 각 트럭당 평균 하루 매출 100만원 정도 나왔고, 주말 영업까지 하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19개소로 영업장소가 늘고 각 장소당 트럭 40대 정도 배정되다 보니 각 트럭당 평균 매출이 50만원도 채 안 되는 경우도 나타났다고 했다. 단기적으로 신규 푸드트럭 창업자들에게는 좋은 기회일 수 있겠으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푸드트럭 업계 안팎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이 업주들의 주장이다.

서울 강남에서 떡볶이를 판매하는 푸드트럭 업주 김주현(가명, 30대, 여)씨는 “요즘 신규 푸드트럭이 늘고 있는데 적자를 보는 곳이 많다”며 “푸드트럭 영업장소와 개수만 늘릴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활성화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부 푸드트럭 업주들은 불법임을 알고도 허가된 장소를 벗어나 영업을 하기도 한다.

업주들은 “푸드트럭 자체가 매장이자 점포라서 이동이 유리해야만 영업을 할 수 있는데 야시장 말고 평일에도 영업 할 수 있는 자리를 많이 허가 내줘야 한다”며 “지금도 서울시 고시 공고에 영업 할 수 있는 자리가 올라오지만 대부분 사람이 잘 다니지 않은 외진 곳인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영업신고에 대한 부분도 언급했다. 업주들은 “우리나라는 주소지로 영업신고를 해서 정해진 주소를 10m만 벗어나도 불법 영업으로 민원이 들어간다”며 “미국의 경우 주 단위나 지역 단위로 영업신고를 할 수 있어 이런 문제가 없다. 이동식 점포임을 고려해 영업신고에 대한 부분이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푸드트럭 업계 안에서의 변화 목소리도 나왔다. 서울시가 대형 프랜차이즈 기업이 운영하는 푸드트럭의 영업장소를 제한했지만 이미 푸드트럭 업계 안에서도 기업형 푸드트럭이 존재해 소상공인 푸드트럭 운영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업주들은 “서울시에선 기업형 푸드트럭을 조사하고 제한한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푸드트럭을 뽑는 기준이 모호하고 기업형이 아닌 척 참가하는 트럭도 많다”며 “푸드트럭 업계 안에 있는 기업형 푸드트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리·위생·보험에 대한 내부 개선 의견도 나왔다. 일부 푸드트럭은 일반 점포와 비슷하게 전문 업체를 통해 트럭 청소를 매월 2회 정기검진을 받는다고 했다. 또 생산물 배상 책임 보험을 체결해 트럭에서 조리되는 음식에 대해 문제가 있으면 최대 1억원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업주들은 “음식을 판매하면서 이런 기초적인 부분조차 안 돼 있는 트럭이 있었다”며 “오히려 왜 돈을 주고 그런 걸 했냐며 타박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했다.

일부 업주들은 조리, 위생, 외식업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한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한 목적에만 치중해 푸드트럭을 만드는 경우에 대해서도 경계했다. 푸드트럭이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을 판매해 피해를 당하는 고객이 생기면 푸드트럭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이 국무조정실에서 제출받은 ‘푸드트럭 운영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올해 8월말까지 푸드트럭으로 구조를 바꾼 차량 1739대 중 합법적으로 영업 중인 푸드트럭은 550대로 31.62% 수준에 불과했다.

일부 푸드트럭 업주들은 “푸드트럭은 음식을 판매하는 사업”이라며 “푸드트럭 영업자들을 상대로 한 기초적인 교육절차나 검증도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에 대해 서울시 소상공인회 관계자는 업주들의 주장과는 달리 트럭 수를 40대 정도 배치된 곳은 야시장이며 그 외 지역은 2~3대 정도 배치된 곳도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서울시는 음식 메뉴가 겹치는 부분이나 시기의 특성, 상권 충돌 가능성, 트럭 수 등을 고려해 장사가 될 만한 곳을 제공하고 있다”며 “너무 한 장소에 몰리도록 무차별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