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준 민속 칼럼니스트 

 

음력 8월 15일은 추석이다. 이 날은 햅쌀로 송편을 빚어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한 후 가족이 한데 모여 즐기는 고유 명절이다. 추석날은 신라시대부터 모든 사람이 일체의 손을 놓고 즐긴 민족 최대의 명절이자 축제였다. 

추석은 한가위·중추절·가배라고도 한다. 추석(秋夕)은 ‘가을 저녁’이란 말이다. 보름달이 떠있는 ‘달 밝은 가을 밤’을 의미한다. 중추절(仲秋節)의 ‘중추’는 ‘가운데’ 즉 가을(7~9월)의 두 번째 달이란 뜻이다. 한가위의 ‘한’은 ‘크다’, ‘가위’는 ‘가운데’를 의미한다. 8월 15일의 팔월은 가을의 중간 달이며 보름 역시 한 달 중 가운데 있다.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이다.

가배(嘉俳) 역시 ‘가운데’라는 뜻이다. ‘삼국사기’에 “신라 유리왕 때 여성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길쌈내기를 했다.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푸짐하게 장만해 대접하고 흐드러지게 놀았는데 이를 가배라 했다”는 것이 첫 기록이다.

음력 팔월 보름을 명절로 보내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다. 신라시대 가배 날이었던 음력 8월 15일이 오늘날 추석이 됐으나 그 기원이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추석과 관련된 재미있는 속담도 많다. 

인사말로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는 덕담이 있다. 추석이 얼마나 풍요로웠으면 ‘물고기도 추석을 쇤다’고 하고 ‘추석에는 개도 송편을 세 개나 먹었다’고 했을까?

대표적인 속담으로 ‘설은 질어야 좋고 추석은 맑아야 좋다’고 한다. 음력설에 눈이 자주 내리면 보리농사에 좋고, 추석 무렵 맑은 날이 많아야 곡식이 잘 영글기 때문에 풍년을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 일종의 유감주술이다.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라는 속담도 있다. 추석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들어 시집을 못 가게 돼 슬퍼서 운다는 뜻이다. 충청도 보은은 지금도 대추 산지로 유명하다. 

‘푼주의 송편이 주발 뚜껑 송편 맛보다 못하다’… 푼주(아가리는 넓고 밑은 좁은 사기그릇)와 같이 좋은 그릇에 담긴 송편이라 할지라도 정성과 사랑이 담기지 않으면 볼품없는 주발(놋쇠로 만든 밥그릇) 뚜껑에 담긴 송편보다 맛이 없다는 뜻이다. 

‘작년 추석에 먹었던 오례송편이 나온다’… 다른 사람의 아니꼬운 행동에 속이 뒤집힐 것처럼 비위가 상함을 비유한 말이다.

‘5월 농부 8월 신선이라’는 말이 있다. 5월은 농부들이 농사를 짓기 위해 등거리가 마를 겨를 없이 땀 흘리며 일하지만 8월은 농사가 마무리돼 가는 때여서 힘을 덜 들이고 일을 하니 신선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그 밖에 ‘송편을 예쁘게 빚어야 예쁜 딸을 낳는다’ ‘옷은 시집 올 때처럼 음식은 한가위처럼’ 등과 같이 주로 풍요로운 음식과 관련된 속담이 많다. 

설날·정월대보름과 마찬가지로 추석 당일 날씨를 보고 농사에 관한 점을 쳤다.

- 추석에 비가 내리면 그해 흉년이 든다. 특히 이듬해 보리농사가 흉작이 된다. 
- 추석날 달이 보이지 않으면 개구리가 알을 배지 못하고 토끼도 새끼를 배지 못한다. 메밀을 비롯한 곡식도 흉작이다.
- 추석날 구름이 너무 많거나 구름이 한 점도 없으면 다음 해 보리농사가 흉년이다. 구름이 적당히 떠 있어야 풍년이 든다.

서양의 명절은 먹고 즐기는 축제다. 그러나 한민족의 명절은 언제나 하느님과 조상님께 먼저 맛있는 음식을 올려 감사의 제사를 지낸다. 그런 후에 가족들이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누며 즐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