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육견협회가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개고기 합법화 촉구’ 집회를 연 가운데 참석 농민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육견협회 “개식용 합법화하라”
케어 “애완견·식용견 따로 없다”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식용이 목적인 개(식용견)를 기르는 농민들이 식용견을 데리고 나와 서울 도심에서 ‘개식용 합법화 촉구’ 집회를 열자 동물보호단체도 현장에 나와 반대 목소리를 내는 등 개식용을 두고 ‘합법화·불법화’ 논쟁이 불거졌다.

식용견을 사육하는 대한육견인협회 농민들은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개식용 합법화 촉구’ 집회를 열었다. 집회에는 전국에서 상경한 500여명의 농민이 참석했다.

이들은 농장에서 직접 기르던 개 10마리를 집회 현장에 데리고 나왔다. 시민들에게 식용견을 공개해 애완견과는 다른 종임을 알림과 동시에 ‘개 사육 농가가 망해감에도 정부가 방관하니 차라리 개를 거둬 달라’는 뜻을 담고자했다는 것이 농민들의 설명이다.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왔다는 김상영 대한육견협회 대표는 특히나 정부의 무관심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우리의 어려운 상황을 좀 알아달라고 이렇게까지 하는데도 계속 정부에서 무관심으로 일관한다면 이제는 더 이상 우리를 막지 못한다”며 “앞으로 더욱더 치열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며 오늘의 일은 단지 서막”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김 대표는 개고기가 혐오식품이라는 말에 대해서도 안타까운 심정을 내비쳤다. 그는 “개고기는 한돈이나 한우처럼 언론에 홍보된 적이 없고 오히려 비위생적이라는 잘못된 이야기만 부각됐다”며 “개고기가 제대로 홍보되고 개가 축산물가공법에만 들어간다면 국민의 인식도 바꾸고 얼마든지 위생적으로 개고기를 판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축산물법에는 개가 속해 있지만 축산물가공법에는 개가 속해 있지 않아 위생관리 등이 더욱 어려운 현실이라는 것이 김 대표의 설명이다.

▲ 김상영 대한육견협회 대표가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인근에서 열린 ‘개고기 합법화 촉구’ 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전남 영암에서 농가를 운영하며 700마리의 개를 기른다는 김판규(54) 대한육견협회 조직이사도 개 사육 농가들의 어려운 현실을 토로했다. 그는 “너무나 착잡한 마음이지만 그래도 살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며 “정부가 외면하는 가운데 동물보호단체들의 활동으로 농가들은 점차 거래처를 잃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농민 대부분이 60대인데 전업하기도 쉽지 않은 현실”이라며 “그래도 개고기를 금지할 것 같으면 전업을 유도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해야 하는데 지금 정부는 아무런 조치가 없고 방관만 하고 있으니 농민들의 답답함은 극에 달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일부 시민들이 잘못된 편견을 갖고 있다고도 했다. 김 이사는 “사람들의 오해 중에 한 가지가 우리가 개를 잡을 때 몽둥이로 잡는다는 것인데 요즘 그렇게 잡는 농가는 없다”며 “힘들어서 그렇게 잡을 수도 없을 뿐더러 소나 돼지와 같이 전기로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민들이 집회를 열고 있는 장소 한쪽에서는 동물권단체 ‘케어’가 개식용 반대 목소리를 냈다.

박소연 동물권단체 케어 대표는 “‘개’라는 한 종에 대해서 어떤 개는 애견이고 어떤 개는 식용이라고 나눌 수 있는 생물학적 기준이 없다”며 “모든 개는 다 같은 한 가지 종으로서 둘로 나눌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도 예전에는 개식용을 합법화하려 했으나 이제는 합법화가 아니라 불법화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는 있다”며 “다만 (개식용을) 불법화하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 국민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막연하게만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또 “반려동물을 키우는 우리나라 인구는 1000만에 들어서고 있고 정치인이나 대통령도 동물관련 좋은 정책을 내놓고 있다”며 “이렇게 시대가 달라지면서 문화도 점차 달라지고 있는데 개식용 불법화는 반드시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사실 맞는 것은 아니지만 농민들이 이제까지 영위해왔던 산업이라면 하루빨리 개식용을 종식하기 위해서라도 전업에 대한 정부의 보상은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개를 기르는 사람들도 개식용 사업이 점차 줄어드는 사양산업임을 인식하고 하루 빨리 전업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