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김형욱 플랫폼사업기획실장이 에어 맵 코리아 프로젝트 기자간담회에서 발표를 하는 모습. (제공: KT)

‘에어 맵 코리아’ 프로젝트 시작

[천지일보=박수란 기자] KT가 약 500만 개소의 ICT 인프라에 미세먼지 등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장소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KT는 20일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ICT 인프라 개방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를 활용해 미세먼지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지원하는 ‘에어 맵 코리아’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KT는 이에 약 450만개의 통신주, 약 33만개의 기지국, 6만여개의 공중전화부스, 4000여곳의 통신국사 등 총 500만여 개소에 이르는 ICT 인프라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공기질 측정기를 설치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개방형 IoT 플랫폼을 구축·운영한다는 것.

IoT 플랫폼에 축적된 데이터는 정부에 우선 제공하며 국가 측정망에서 수집한 공기질 데이터의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KT는 정부와 협의해 측정된 공기질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 정부가 필요로 할 때는 데이터를 일반 국민들에게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일반인 누구나 공기질 측정기나 관련 플랫폼을 KT의 플랫폼과 연동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KT는 공기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 수립을 지원한다. 수집된 공기질 데이터는 KT의 통화량 기반의 유동인구 정보와 공공·민간기관의 정보와 결합해 미세먼지의 발생원인, 확산예측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공기질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정부 및 지자체의 살수청소차 운행, 천연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 활용 중인 이끼 설치장소 선정, 미세면지 확산 예측 알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의 확산 예측 알림은 특정 지역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데이터와 현재 바람의 방향과 속도 등의 기상정보를 연계해 미세먼지 이동경로를 예측하는 것이다. 정부나 지자체는 예측된 미세먼지 이동경로를 시민들에게 전달하면 미세먼지로부터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교육청에서는 학생들의 야외활동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KT는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공기질 측정망을 구축하고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는 내년 1분기에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주요 거점 1500개소에 공기질 측정기를 설치하고 공기질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