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라는 말은 원래 약 700년 전 중국에서 발간된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라는 책에 나온 말인데 성철 스님이 인용해 유명해졌다.

그 책은 큰 스님 다섯 분이 금강경을 해설한 책으로 그 안에 ‘산시산(山是山) 수시수(水是水) 불재하처(佛在何處)’, 즉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인데 부처님이 어디에 계시단 말인가”라는 야보(冶父) 스님의 시구가 있다.

불교에서 ‘산과 물’에 대한 인식은 세 단계로 발전한다고 보는데 먼저 산을 산으로, 물을 물로, 즉 자연현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는 첫 번째 단계가 있다. 그러나 부처님을 만나면 산은 더 이상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게 된다.

만물의 근본이 하나이므로 천지(天地), 미추(美醜), 주야(晝夜), 희비(喜悲) 등을 모두 분리되지 않는 하나로 본다.

즉 기존 가치체계에 일대 전도현상이 일어나는 두 번째 단계이다. 그 다음은 산이 도로 산이 되고 물도 다시 물이 되는, 전도되었던 가치 체계가 제자리를 찾는 마지막 단계이다.

첫 번째 단계의 ‘산과 물’이 단순한 감각적 인식 대상이라면 마지막 단계의 ‘산과 물’은 불성(佛性)을 반영하는 도구가 되고 천지사방에 충만한 불성을 힘입어 부처님의 가르침을 삶의 현장에서 실천하는 단계이다.
성철 스님은 그 구절을 통해 법당 안에서만 부처님을 찾는 불자들의 어리석음을 꾸짖으신 것이다.

그러면 기독교 성경에서 ‘산과 물’은 무엇인가.

먼저 ‘물’은 사람이 먹지 않으면 죽듯이 영의 생명을 지켜주는 ‘하나님의 말씀’을 물에 비유했다. 그래서 아모스 8장 11절에 “양식이 없어 주림이 아니며 물이 없어 갈함이 아니요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이라고 했다.

또 “나의 교훈은 내리는 비요 나의 말은 맺히는 이슬이요 연한 풀 위에 가는 비요 채소 위에 단비로다(신 32:2)”고 했다.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 15장 3절에 “너희는 내가 일러 준 말로 이미 깨끗하였으니”라고 하셨으니 물로 더러운 것을 씻어 내리듯이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마음에 받아들여서 사단의 비진리를 버리고 옳지 못한 행실을 고치는 것을 의미한다.

‘산’은 나무로 비유된 성도들(사 5:7)이 많이 모여 있는 교회를 상징하며 오늘날 마지막 때 성도는 하나님께서 영원히 거하실 구원의 산(시 132:13~14, 마 24:15~16, 계 14:1)을 찾아 가야만 구원을 받을 수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