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유난히 복(福)을 좋아했던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베개, 수저, 그릇, 이불 등 생활 속 어디에든 福자를 수놓았다. 특히 ‘복을 불러들인다’는 의미가 담긴 복주머니도 사랑을 받았다.

갖가지 색깔의 비단이나 무명천으로 둥그스름한 모양의 두루주머니, 또는 양모서리가 각이 진 귀주머니를 만들어 수(壽)·복(福)·부(富)·귀(貴)·희(囍) 등의 글자나 십장생·불로초·박쥐·국화 무늬 등을 수놓은 복주머니를 남녀노소 구분 없이 즐겨 찾았다. 선조들은 이렇게 하면 사악한 것을 물리칠 수 있고, 장수나 여러 복이 온다고 믿은 듯하다.

우리나라는 한복을 즐겨 입었다. 그런 한복에는 옷 자체에 물건을 넣을 수 있는 호주머니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따로 주머니를 만들어 허리에 차거나 손에 들고 다녀야 했다. 신라·고려·조선시대에는 남녀가 모두 사용했고, 그 신분에 따라 감이나 색상·부금을 달리했다. 근래에는 여자들이 한복을 입고 나들이할 때 장식적인 역할을 겸하여 들고 다닌다.

복주머니 바탕천은 적·분홍·진주·홍·청·남·담록·백·옥색 등 여러 가지 색채의 비단이나 무명이 쓰인다.

음력 설날이나 정월 초하루에 새해맞이 선물로 친척이나 자손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다. 이 풍습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음력 정월 첫 해일(상자일, 쥐날)에 볶은 콩 한 알씩을 붉은 종이에 싸서 넣은 주머니를 종친들에게 보내주던 풍습으로, 이 이유는 복주머니를 차면 그해 일년 내내 귀신이 물러가고 만복이 온다고 믿는 데에서 비롯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