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다이빙궈 '해법찾기' 대화 가속

(서울=연합뉴스) 미.중간의 'G2(주요 2개국) 컨센서스'가 천안함 외교의 향방을 가를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천안함 사건과 6자회담 재개의 연계여부를 놓고 일정한 시각차를 보여온 두 나라가 현 국면에서 어떤 방향으로 공감대를 잡아나가느냐가 천안함 사건의 후속대응 방향설정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란 관측에서다.

이런 맥락에서 24∼25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미.중 경제.전략대화의 의미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선(先) 천안함, 후(後) 6자회담' 기조로 가느냐, 아니면 '천안함-6자회담 병행'이냐를 놓고 양국 사이에 큰 그림이 도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는 워싱턴과 베이징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읽혀진다. 중국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 이후 "어떤 상황이 발생하거나 어떠한 변화가 있더라도"(장위 대변인) 6자회담을 조속히 열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미국은 한국 정부와 보조를 맞춰 '선 천안함, 후 6자회담' 기조를 대외적으로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수면 위로 드러난 흐름이고 물밑에서는 서로 공통지대를 형성해내려는 다양한 레벨의 교섭이 분주하다는게 소식통들의 분석이다.

커트 캠벨 미 국무부 차관보의 11일 방중에 뒤이어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1시간이 넘도록 장시간 전화통화를 가진 것은 이런 기류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두사람의 대화에서는 이란 핵문제가 최대 현안이었지만 동북아 정세의 불안요인인 천안함 사건과 6자회담 재개 문제 역시 주요하게 다뤄졌을 것이라는게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이 자리에서 다이빙궈 국무위원은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결과를 디브리핑하는 형식을 빌려 6자회담 재개를 위해 유연성을 발휘하자고 미국을 설득했을 가능성이 있고, 이에 반해 클린턴 장관은 현시점에서는 천안함 조사와 대응에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역으로 전달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문제는 양국의 컨센서스가 어떤 쪽으로 기우느냐다. 이는 단순히 한반도 정세 차원을 넘어 글로벌 정세 대처에 대한 G2 차원의 전략적 이해와 상호간의 '보이지 않는' 갈등.협력 흐름이 뒤엉킨 복잡한 이슈여서 쉽사리 방향을 점치기 어려워보인다.

다만 중국으로서는 천안함 사건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거부하기 힘들고, 미국도 6자회담 조속 재개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의장국' 중국의 입장을 마냥 외면하기 힘든 처지이다.

따라서 양측은 천안함 사건의 대응과정을 '적절히' 관리하면서 6자회담 재개 프로세스에 관한 개략적인 공감대를 도출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가운데 G2 사이에 놓인 우리 정부의 '천안함 외교' 행보도 주목할만한 변수다.

천안함 외교의 핵심 포인트는 미국과의 굳건한 공조를 바탕으로 중국 등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 '단호한 대응'의 효과를 이끌어내는데 있다. 정부가 12일 위성락(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성김(미 6자회담 특사) 라인과 14일 이용준(외교부 차관보)-캠벨 라인을 급가동한 것은 한.미 공조를 다지려는 차원이다.

특히 12일 저녁 회동한 위 본부장과 성김 특사는 천안함 조사 결과가 나온 뒤 6자회담 대응 방향을 협의한다는 기본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국을 상대로도 직.간접적인 외교채널을 통한 설득외교를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은 "성김 특사는 중국이 '조사 결과를 일단 보자는 신중한 입장이었다'고 전했다"고 말했다.

이달 하순으로 예정된 정부의 조사결과 발표형식과 시기 결정도 일정한 외교적 함의를 띨 수 밖에 없어 보인다.

정부 소식통은 "아직까지 조사결과 발표가 빨라질 지, 늦춰질 지는 확정되지 않았다"며 "그러나 공식발표 전이라도 중국 등 주요국을 상대로 충분한 외교적 노력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5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개최되는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는 천안함 사건과 6자회담 재개에 대한 중국의 '정리된 입장'이 드러나는 무대라는 점에서 G2 컨센서스의 향방을 가늠해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