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로 오랜 기간 참된 수행의 결정체인 구슬 모양의 유골을 말한다.

보통 시신을 화장하면 뼈까지 모두 불에 타 없어지지만 사리는 타지 않고 남아있다.

이로 인해 불교도들은 이를 참된 불도수행의 결과로 보고 신앙의 대상으로 여겨 사리를 불탑 안에 두어 보관한다.

‘사리’라는 단어는 범어 ‘Sarira’를 음역한 것으로 원래 부처나 성자(聖者)의 유골을 뜻했지만 후대에는 화장한 뒤에 나오는 작은 모양의 구슬을 일컫고 있다.

그렇다고 모든 사리가 반드시 작은 모양의 구슬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사리는 크게 쇄신사리(碎身舍利), 생신사리(生身舍利), 전신사리(全身舍利)로 나눌 수 있다.

쇄신사리는 화장을 한 후 유골에서 나온 경우, 생신사리는 치사리라고도 불리는데 살아있을 때 나오는 경우, 전신사리는 온 몸 전체가 사리로 변한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사리의 크기는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없으며 좁쌀크기에서부터 쌀알크기ㆍ팥알크기ㆍ성인의 몸 전체까지 그 크기는 다양하다.

또한 한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사리의 과(顆, 사리를 세는 단위)도 모두 다르다.

한국에서 스님의 사리는 양산의 통도사, 오대산 상원사,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 총 5곳에 보관돼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