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환기념관에서 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가 주최한 ‘자연공원 50주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조계종 환경위, ‘자연공원 50주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토론회

[천지일보=차은경 기자] “선운사 앞이다. 문화재관람료를 선운사에서 3000원씩 내란다. 걷는 이는 선운사라 적힌 명찰을 달고 있다. 이 돈을 누가 관리하는지 물었다. 국가로 들어가냐고 물었다. 직원이 얼버무리며 ‘예’라고 한다. 과연 그럴까? 돌아섰다. 쓸쓸한 뒷맛을 삼키며 선운산을 등졌다.”

“내장산 갔다가 매표원이랑 싸웠다. 절 안 볼 건데 왜 돈 내야 하냐고. 그냥 로봇 같은 답변. 규정이 그렇습니다. 정말 기분 나빴다. 드라이브로 한 바퀴 돌고 나오는데 4인 가족 3000원씩 총 12000원. 5분 정도 산 구경만 하고 절 욕만 하고 나왔다. 국민 신문고에도 알렸다.”

“등산을 좋아해서 산만 가는데 늘 몇천원씩 내는 돈이 정말 아까워요. 짜증 나고. 불교 자체가 싫어지죠. 부처님이 살아계셨다면 정말 많이 혼났을 겁니다.”

사찰을 가지 않는 탐방객도 문화재관람료를 내야 하는 문제는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이시종 충북지사는 문화재관람료 징수와 관련해 “새 정부 차원에서 검토할 문제이고, 바람직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해 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지사에 따르면 2년 전 문재인 대통령도 당 대표 자격으로 구인사를 방문했을 때 조계종 자승 총무원장과 함께한 자리에서 “참여정부 시절 1단계로 국립공원 입장료를 폐지하고, 뒤이어 문화재관람료까지 없애려고 했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가 주최한 ‘자연공원 50주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토론회에서 내일신문 남준기 기자는 사찰의 문화재관람료 징수에 대해 짚었다. 이날 세미나는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렸다.

토론문에 따르면 2007년부터 국립공원 입장료 1600원은 폐지됐지만 2200원이던 문화재 관람료는 3~4년마다 껑충 올라 지금은 4000원에 이른다. 과거 입장료까지 합친 금액보다 더 비싼 관람료를 내야 입장할 수 있다는 말이다.

우리나라 전체 21개 국립공원 가운데 16개 국립공원의 25개 사찰은 작게는 1000원에서부터 많게는 4000원까지 문화재 관람료를 받고 있다. 입장료 폐지 때 문화재관람료까지 함께 없앤 사찰은 설악산 백담사와 덕유산 백련사 2곳뿐이다.

2013년에는 문화재 관람 의사가 없는 탐방객에게 강제로 문화재관람료를 받는 것은 부당하다는 대법원 판결도 나왔지만 여전하다는 설명이다.

그렇지만 남 기자는 “박물관처럼 사찰의 문화재 또한 관람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 무조건 잘못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러나 관람료를 걷으면서 그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제대로 된 설명이 없는 것은 문제다”라며 “사찰들이 연간 관람료 수입을 공개하지 않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상식을 벗어난 ‘문화재관람료’ 징수가 불필요한 갈등을 초래한다며 정부와 불교 종단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관람료 징수 탓에 등산객들이 발길을 끊는 바람에 상권이 위축되면서 생계 걱정을 해야 하는 주변 상인들의 불만도 크다.

남 기자는 “사찰의 문화재 관리를 위해 국고 보조금이 지원되는데 문화재관람료를 또 징수하게 하는 건 부당한 이중지원이며 결국 각 사찰의 쌈짓돈으로 쓰이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크다”고 덧붙였다.

▲ 25일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환기념관에서 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가 주최한 ‘자연공원 50주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