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진광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인추협) 대표가 인추협이 직접 제작한 ‘사랑의 일기장’을 손에 들고 일기쓰기의 장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인터뷰| 고진광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 대표

“성찰하는 습관 체득하는 기회
최고의 인성교육방법이라 자신”

“꾸준히 작성하는 습관 중요
소통의 고리로 가족일기 추천”

[천지일보=김민아 기자] “반성하는 어린이는 비뚤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이 지금까지 일기 쓰기 운동을 진행하는 원동력입니다.”

30년 가까이 사랑의일기 운동을 진행 중인 고진광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 대표는 “급격한 산업화로 불법이 성행하고, 정직하게 사는 사람이 ‘바보’가 되는 세상이 되고 있는 것을 목격한 후 아이들만이라도 올바른 사회의 일원으로 자라나게 하기 위해 사랑의일기 운동을 시작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2004년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에서 ‘일기 검사’가 ‘인권침해’라는 결정이 나면서 학교현장에서의 일기 교육은 주춤한 상태다. 고 대표는 “일기 쓰는 습관을 길러주는 게 목적이지 일기 내용을 검사하려는 게 아니다”며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일기쓰기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일기쓰기 장점은.

오늘을 반성하고 내일을 계획하는 시간인 일기쓰기는 그 자체로 자기성찰이며 인성교육의 첨병이라고 생각한다. 일기쓰기는 다른 사교육의 도움 없이 꾸준한 실천만으로도 커다란 인성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다. 자신을 성찰하는 능력은 어느 날 갑자기 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훈련으로 습관화 돼야 가능하다. 지겨운 숙제로 메워야 하는 일기를 권하는 게 아니다. 성실하게 보낸 오늘 하루, 있었던 일을 돌아보며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습관을 체득할 수 있는 기회가 아이들에게 제공되기를 바란다.

- 일기쓰기를 하면서 아이들에게 오는 변화는.

일기쓰기는 아이의 변화 뿐 아니라 가정의 변화 마을의 변화, 그리고 사회의 변화를 만든다. 먼저 일기교육 과정 중에 부모와 아이가 하루의 과정을 함께 되돌아보고 대화하면서 소통의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 잘한 것은 칭찬해주고 잘못한 것은 함께 반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성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 달라진 아이의 행동은 마을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우리 동네에 주민들과 거의 소통이 없는 할아버지가 있었다. 그런데 일기교육을 통해 ‘인사하기’ 목표를 세운 아이가 날마다 할아버지에게 밝게 인사를 했고, 할아버지는 아이가 너무 귀여워 용돈을 주기까지 했다. 그 아이의 할머니는 그 사실을 알고 할아버지에게 김치를 담아 전달했다. 한 아이의 인사가 이웃 간의 소통을 만들어낸 것이다.

일기쓰기는 인성교육에 있어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일기쓰기 운동을 시작한 이후 30년이 지난 지금 ‘사교육은 필요 없다’는 생각이 더욱 든다. 일기쓰기를 꾸준히 한 어린이들이 이제는 어엿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라서 각자의 자리에서 책임을 다하고 있는 모습을 목격한다. 더불어민주당 고준일(37) 최연소 세종시의회 의장도 사랑의일기 운동에 동참했던 어린이 중 하나다. 그 외에도 많은 어린이가 기업체, 법원, 방송국 등 각 분야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일기쓰기 방법은.

일기쓰기에 정해진 방법은 없다. 쓰는 방법보다는 꾸준히 작성하는 게 중요하다. 길지 않아도 되니 하루 일과 중 감사했던 일, 행복했던 일, 인상 깊었던 일, 의미 있었던 일 등을 생각해보고 짧게 느낀점을 적어본다면 삶에 대한 감사함과 자신의 새로운 장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가족일기를 추천하고 싶다. 한 권의 공책을 준비하거나 가족 우체통 등을 만들어 가족 구성원에게 말로 하지 못했던 마음 속 이야기들의 적는 거다. 그 메모들이 가족과의 대화를 더욱 자연스럽게 이어줄 것이다.

- 아이가 일기를 쓰게 하려면.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하얀 백지에 글을 쓰라고 한다면 너무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처음에는 ‘인사하기’ ‘고운말 쓰기’ ‘질서 지키기’ 등의 체크리스트를 통해 하루를 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강요보다는 가족 모두가 저녁 시간 20~30분 정도는 TV를 끄고 앉아 함께 일기를 쓰면서 대화도 하고, 소소한 일상에서 행복의 의미를 부여하는 시간을 가져본다면 충분한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고학년이 되면 ‘시사일기’ ‘환경일기’ ‘독서일기’ 등 주제를 줘서 다양한 글을 써 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학교에서는 공교육을 살리는 차원에서 일기교육이 다시 활성화 되면 좋겠다. 자습시간이나 방과후 프로그램에 일기교육을 넣어서 아이들에게 메모하는 습관을 길러주는 기회를 만들면 어떨까 싶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