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통합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를 면치 못하는 실정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따라서 25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밝힌 우리나라의 사회통합지수가 OECD 회원국(30개국) 중 29위를 기록했다는 발표도 새삼스러울 게 없다. 내용에 따르면 1995년 이후 20년 동안 변함없이 최하위를 지켜왔다는 것인바, 공교롭게도 역대 정부에서 ‘국민통합’을 내세운 시기가 1990년대이니 과거 20년간 별 성과 없이 목소리만 높여왔던 것이다.

노태우 정권이 국민통합 기준을 발표해 추진한 적이 있고, 또 김대중 정부 때는 ‘새 공동체를 위해 국민통합의 의식혁명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서 강력 추진해왔으며 그 이후 참여정부나 이명박 정부 등에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임기 첫해인 2013년에 대통령 직속으로 이전 정부의 ‘국민통합’ 명칭 위에 큰 대(大)자 까지 넣은 ‘국민대통합위원회’를 만들고 계층갈등, 노사갈등, 이념갈등, 지역갈등 등 8개 갈등 분야를 잘 봉합해 국민대통합을 이룬다는 계획으로 추진해왔으나 국정 실패로 오히려 국민통합에 해를 끼친 결과를 낳고 말았다.

이같이 역대 정부가 국민통합을 위해 노력해왔지만 통합지수가 개선되지 않고 꼴찌를 차지해왔다는 사실은 국민과의 불통으로 우리 사회 내에서 불만 요소들이 많았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것은 한국 사회가 OECD 회원국 다른 나라들에 비해 계층, 성별, 빈부에 따라 심한 차별이 존재하는 등 사회 전반에서 국민 불신이 크다는 것인데, 이는 정부가 민의를 제대로 수렴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귀결되고, 정치인에 대한 신뢰가 낮다는 점과 일맥상통한다.

우리 사회는 세월호 참사 이후 지속적으로 갈등이 이어져 온데다가 최순실 씨의 국정 농단 사태가 몰고 온 최근의 박 전 대통령 사법적 처리 문제 등과 관련해 국론이 분열된 상태나 다름없다. 게다가 권한대행 체제의 정부 운영과 조기대선으로 인한 정치권의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보여주고 있는 조짐들은 하나같이 어려운 갈등 조장 국면의 모습들이다. 국민통합의 문제는 국가발전의 기초요, 수단이며 종국의 목표인 만큼 국가·사회가 어려운 이런 때일수록 정치권이 중심을 잡고 국민통합에 앞장서야 한다. 그중에서도 대선주자들은 집권보다 더 큰 과제인 국가적 대의(大義), 새로운 대한민국의 가치를 도출해내는 ‘국민통합’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