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세월호가 떠올랐다. 2014년 4월 16일 전남 진도군 맹골수도에 침몰해 476명 중 304명이 숨진 대참사가 발생한 지 1073일 만이다. 엄청난 비용을 치르며 진행되는 인양작업의 목적은 미수습자 확인과 더불어 철저한 원인규명이다. 세월호 인양은 이미 여러 차례 좌절을 겪었다. 참사 1주기인 2015년 4월 16일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담화에서 선체 인양을 공언했고, 정부는 2016년 7월까지 인양을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양 시점은 여섯 차례나 미뤄진 끝에 참사 3주기를 앞두고 인양이 진행된 것이다. 세월호가 목포 신항에 거치돼 모든 인양 작업이 마무리되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 

최소 3개월 이상 걸릴 세월호의 선체 수색·수습 작업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가 맡을 예정이다. 특별법에 명시된 위원회의 구성 규정을 보면, 위원회는 상임위원 3명을 포함한 총 8명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위원 8명은 국회가 선출하는 5명, 세월호 희생자 가족대표가 선출하는 3명을 대통령이 임명한다. 위원회는 향후 인양돼 육상에 거치된 세월호 선체 조사, 세월호 선체 인양 과정에 대한 지도·점검, 미수습자 수습, 세월호 선체 내 유류품 및 유실물 수습과정에 대한 점검, 조사가 끝난 세월호 선체 처리(보존 검토 포함)에 관한 의견표명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조사는 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한번 연장할 경우 10개월 이내에 완료해야 한다. 

세월호가 들려지면 그간 바다에 묻혔던 진실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검경합동수사본부는 세월호 침몰이 선박 증축에 따른 복원성 부족과 화물 고정 결박 불량 같은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지만 잠수함 충돌설 같은 온갖 억측이 난무했고, 논란은 정치적 사회적 이슈로도 이용돼 왔다. 세월호 사건은 양심 잃은 선장, 돈에 눈 먼 고용주, 과적선적에 총체적 안전불감증에 국가 재난시스템의 총체적 부실이 낳은 참사였다. 참사 이전으로 되돌릴 수는 없지만 이번 인양작업이 철저한 원인규명과 더불어 피해자 가족들의 상처와 분란, 온갖 억측에 종지부를 찍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