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침몰 해역인 전남 진도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23일 오후 재킹바지선이 세월호 인양작업을 하고 있다. (제공: 해양수산부) ⓒ천지일보(뉴스천지)

미수습자 9명 수색작업 ‘객실 직립방식’
선체조사위 출범, 침몰 원인 규명 본격화

[천지일보=강병용 기자] 세월호 선체가 3년 만에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냈지만, 선체를 목포신항에 거치할 때까지 남은 과정도 만만치 않다.

인양 후 남은 과제 중 미수습자 9명에 대한 수색 작업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세월호 선체 내 미수습자 수색작업 역시 인양만큼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년간 바다에 잠겨 있어 선체가 부식되거나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 내부에 쌓인 퇴적물과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정부는 미수습자 9명에 대한 수색에 앞서 방역 등 안전점검부터 벌일 예정이다. 또 세월호가 가라앉아 있던 맹골수도에서 다시 수색작업에 나설 방침이다.

무엇보다 미수습자 수색 방식을 두고 아직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것도 문제다. 정부는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객실 부분을 일부 잘라내 똑바로 세워 수색작업을 벌이는 방안을 검토했다. 하지만 일부 유족이 “객실을 분리할 경우 사고 원인에 대한 진상규명이 어려워진다”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선체를 최대한 보존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해수부는 세월호가 눕혀진 상태에서 객실 구역만 분리해 바로세운 뒤 수색작업을 벌이는 ‘객실 직립방식’에 무게를 뒀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미수습자 9명에 대한 수색작업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유족과 충분히 협의하면서 수색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월호의 침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작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앞서 검찰은 세월호 침몰 원인은 과적과 급격한 방향 선회가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렸지만, 의혹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또 지난해 특별조사위원회가 세월호에 제주 해군기지로 가던 철근 270여톤이 실렸다는 사실을 공개하면서 침몰 원인에 대한 의혹이 불거졌다. 세월호에 있던 노트북에서 국정원 지적사항 파일이 발견되면서 불거진 이른바 ‘국정원 개입설’ 역시 한때 주목받았다. 이 밖에 잠수함 충돌 등 외부 충격설까지 제기됐다.

침몰 원인에 대한 각종 의혹을 해소할 법적 장치가 마련돼 각종 의혹이 해소될지 주목된다.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세월호 선체 조사위원회(선체 조사위)’가 공식 출범했다. 법적 근거도 마련됐다. ‘세월호 선체 조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이 지난 21일 공포되고 시행됐다. 선체 조사위는 국회가 선출하는 5명, 희생자 가족 대표가 선출하는 3명 등 총 8명으로 구성된다.

이 중 최소 6명(전체 위원의 2/3 이상)은 선박과 해양 사고 관련 분야에 5년 이상 종사한 사람을 선출한다. 선체 조사위 활동 기간은 6개월 이내로, 필요할 때 1회에 한해 4개월 이내 범위에서 한 차례 연장할 수 있다. 선체 조사위는 세월호 선체 조사를 비롯해 자료와 물건의 제출 명령, 동행 명령, 참고인 등 조사, 고발·수사 요청, 감사원 감사 요구 등을 할 수 있다. 또 선체 인양 지도·점검과 미수습자 수습, 유류품과 유실물 수습 과정 점검, 선체 처리에 관한 의견 표명 등을 할 수 있다.

이에 앞서 국회는 지난 2일 본회의를 열어 세월호 선체 조사위를 구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세월호 선체 조사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을 가결했다. 실종자 수습과 조사를 마친 뒤 세월호 선체를 어떤 방식으로 보관할지도 문제다. 이를 두고 아직 결정된 게 없지만 핵심 부품만 떼어내 보존하는 방안 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