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강진군은 지난 6일 강진읍 향일마을 입구에서 강진원 강진군수, 김상윤 군의회 의장을 비롯한 유관기관 및 아이들이 참석한 가운데 식목일 기념 나무심기행사를 가졌다. (제공: 강진군) ⓒ천지일보(뉴스천지)

산림청 현행 유지 고수
“통일 이후 대비하는 것”

[천지일보=이지수 기자] 지구 온난화 등으로 봄이 일찍 시작되면서 묘목시장이 혼란을 빚고 있다. 나무 심는 시기가 빨라진 만큼 학계와 묘목업계 등에서 식목일을 앞당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946년 식목일을 지정할 당시 평균기온이 지금은 3월 중순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언 땅이 풀리고 나서 새싹이 돋을 때까지를 식목 적기로 나무 심기를 권고하고 있다. 기상 자료 등을 종합할 때 평균기온 6.5도일 때 땅이 녹고 7.3도가 되면 나무에 싹이 돋는다. 서울 기존 3월 21일과 4월 10일이 이 시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때가 나무 심는 최적기이고 계산하면 3월 30~31일이 한가운데다.

국립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싹이 돋는 것은 나무가 뿌리를 통해 물을 끌어올려 증산작용을 한다는 것”이라며 “이 시기 옮겨 심은 나무는 수분 스트레스를 받고 활착률도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묘목시장에서도 비슷한 얘기가 나온다. 묘목재배 농민들은 식재 시기만 보면 식목일이 1주일에서 열흘 정도는 앞당겨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부지방의 경우 나무 심는 최적기가 3월 중순~하순이라는 얘기다. 식목일을 앞당기는 문제는 오래전부터 논의됐다. 이명박 대통령 재임 당시인 2009년 식목일 변경안이 국무회의에 상정됐으나 지금대로 유지하는 쪽으로 결론 났다. 산림청은 현행 유지를 고수하고 있다. 산림청은 식목일을 바꿀 계획이 없으면 현행대로 유지할 방침이라고 15일 밝혔다.

70년 넘게 이어온 국가 기념일이라는 상징성과 앞으로 통일시대에 대비한 결정이었다는 게 산림청의 설명이다. 통일시대를 고려한다는 것은 향후 통일이 됐을 때 개마고원 등 북한지역을 고려하면 나무 심기 기념일은 4월 5일도 이르다는 반론 때문이다. 2월과 3월에 나무 심기가 가능한 남한지역과 4월 이후에나 나무를 심을 수 있는 북한의 중간적인 시기로 현재의 4월 5일이 적당하다는 논리다.

더불어 삼국시대 신라가 문무왕 17년 2월 25일 삼국통일을 완수한 날을 양력으로 계산하면 4월 5일이며 조선 성종이 재위 24년 3월 10일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하늘에 친히 제사를 지내고 밭을 간 날 역시 양력으로 치환하면 4월 5일이다. 이런 역사적 의미를 고려할 때 70여년 전에 정한 기념일을 바꾸는 것이 꼭 바람직한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대신 산림청은 전국을 4개 권역으로 나누고 3월 1일~4월 30일이던 나무 심는 시기를 조금 확대하면서 앞당겼다. 기후대별로 ▲난대(제주·남부해안) 2월 21일∼3월 31일 ▲온대 남부(전남·경남) 3월 1일∼4월 10일 ▲온대 중부(전북·경북·충청) 3월 11일∼4월 20일 ▲온대 북부(경기·강원) 3월 21일∼4월 30일로 나눈 것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기후변화 영향이 있긴 하지만 수목의 생리적 특성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했을 때 식목일을 변경할 만큼 영향이 크지 않고, 날짜를 변경할 경우 많은 홍보비용과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가 우려된다”며 “식목일은 단지 기념일로 받아들이고 지역 환경에 따라 2월 말부터 시작되는 나무 심는 기간에 나무를 심으면 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