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윤 소설가

 

주허후 유정은 매사에 과감한 사람이었다. 그의 아우는 동모후 흉거이다. 둘 다 제나라 애왕(제 도혜왕의 아들)의 아우이며 장안에 살고 있었다.

그 무렵 여씨 일족은 나라의 실권을 잡고 제위를 빼앗으려고 일을 꾸미고 있었으나 고조 때부터의 중신인 강후 주발과 관영 등이 마음에 걸려서 결단을 못 내리고 있었다. 그런데 주허후의 아내가 여녹의 딸이었으므로 주허후는 여씨네의 음모를 눈치 채고 있었다. 그대로 있다가는 자신마저 위태롭다고 생각한 그는 형인 제왕에게 밀사를 보내 여씨 일족의 동정을 알림과 동시에 군대를 장안으로 보내 여씨들을 없애고 제위에 오르도록 요청했다. 주허후 자신은 중신들과 짜고 내부로부터 호응을 할 셈이었다.

제왕은 제후들에게 밀사를 띄워 자신의 결심을 나타냈다.

“고조가 천하를 통일하고 유씨 일문을 왕으로 책봉하실 무렵에 부왕인 도혜왕에게 제나라를 주셨다. 그 뒤 도혜왕이 세상을 떠날 무렵에 혜제는 유후 장량의 건의를 좇아 신을 제왕으로 세우셨다. 혜제가 세상을 떠나자 여태후는 나랏일을 마음대로 하고 여씨 일족만을 등용시키고 멋대로 황제를 폐하고 신제를 세웠다.

또 차례로 세 명의 왕을 죽임으로써 양, 조, 연나라의 후계를 끊고 여씨로 바꾸었으며 제나라를 사 등분했다. 충신의 간언에 대해서도 태후는 귀담아 듣지 않았다.

이제 여태후는 이미 죽었다. 그러나 황제는 아직 어려서 천하를 다스릴 힘이 없다. 당연히 중신과 제후의 도움이 기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여씨 일족은 군사력을 등에 업고 제후들과 충신을 위협하여 조칙이라 빙자하여 천하를 호령하고 있다. 유씨의 사직은 이제 위기에 놓여 있다.

여기에 이르러 나는 군사를 이끌고 장안으로 올라가 왕의 자격도 없는 여씨 일족을 섬멸하려는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한나라 궁궐에서는 상국 여산 등이 영음후 관영에게 군대를 주어 제나라 공격을 명령했다.

그러나 관영은 형양에 도착하자 부하들 앞에서 마음을 털어 놓았다.

“여씨 일족은 관중에서 병권을 한손에 쥐고 있다. 유씨를 쫓아내고 제위를 빼앗을 속셈이다. 지금 내가 제나라군을 공격한다면 여씨 일족에게 협력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관영은 형양에 눌러 앉아 제왕을 비롯하여 제후들에게 사자를 보내 연합군의 결성을 제안했다. 제안을 받은 여러 왕들은 즉시 군대를 제나라 서쪽 변두리까지 진격시켜서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여산과 여녹은 관중을 제압할 것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나 강후, 주허후 등 유씨 세력들이 켕기는 한편 제나라와 초나라의 군사력도 얕잡아볼 수도 없었다. 게다가 토벌을 위해 출전시킨 관영이 배신할 우려도 없지 않았다. 그들은 온갖 궁리 끝에 관영이 제나라와 싸움을 벌이기를 기다리기로 했다.

그 무렵 어린 황제의 이복동생인 제천왕 태, 회양왕 무, 상산왕 조 등 세 왕과 여후의 외손인 노원왕은 모두 나이가 어렸으므로 영지에는 부임하지 않은 채 장안에 있었다. 게다가 조왕 여녹과 양왕 여산이 각각 북군과 남군을 거느리고 장안에 있었다. 이들은 모두 여씨 일족이었으므로 유씨 측의 대신과 열후들도 내심으론 불안에 떨고 있었다. 강후 주발이 태위 자리에 있었으면서도 궁중에 들어가 직접 지휘할 형편도 되지 못했다.

그러나 고조 유방의 옛 신하인 곡주후 역상은 늙었으나 그의 아들 역기가 평소부터 여녹과 사이가 좋았다. 주발은 그 점을 생각하여 즉시 승상 진평과 의논했다. 역상을 인질로 잡고 그의 아들 역기를 이용하여 여녹을 함정에 빠뜨리자는 것이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