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저소득일수록 퇴근 후 소진감 커

[천지일보=이지수 기자] 정부가 매달 하루 2시간 일찍 퇴근시켜 돈을 쓰도록 만든다는 내수활성화 방안을 내놓은 가운데 젊은 직장인 3분의2는 퇴근하면 아무것도 못할 만큼 녹초가 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일과 개인 생활의 조화를 위한 조건으로 근로시간 단축이나 유연 근로보다 ‘칼퇴근’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25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20~40대 직장인 2000명을 상대로 설문한 ‘2040세대 취업 남녀의 시간 사용과 일·생활에 관한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7.8%가 ‘일을 하고 나면 지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 중 ‘매우 그렇다’는 직장인이 12.0%, ‘그렇다’는 답변이 55.8%였다고 밝혔다.

일로 인한 소진감은 여성(71.4%)이 남성(65.1)보다 더 컸다. 또 월수입 200만원 미만인 직장인 중 70.3%, 500만원 이상 고소득 직장인 중 60.9%는 퇴근 이후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해 소득이 낮을수록 피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도 쉴 틈이 없다’는 응답도 52.4%였으며 여성(55.5%), 30대(57.8%), 맞벌이(66.2%) 직장인은 퇴근 이후에도 쉴 틈 없이 바쁘다고 대답했다.

영유아 자녀가 있는 경우는 68.6%가 귀가 이후 분주하다고 답해 육아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평소 ‘가족과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해 아쉽다’는 답변도 77.4%였다.

일·가족·개인 생활의 이상적 시간 배분 역시 현실과 거리가 멀었다. 답변을 종합한 결과 직장인들은 수면과 휴식·여가를 포함한 개인 생활에 47.1%를 사용하고 근로시간과 가족생활시간에 각각 29.6%, 23.2%를 사용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실제 주어진 시간의 42.6%를 일하는 데 썼고 개인 생활은 41.4%, 가족생활시간은 16.0%뿐이었다.

직장인들은 이런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줄이고 희망에 가깝게 시간을 나눠쓰려면 무엇보다도 정시퇴근 보장(66.0%)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