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남한의 경찰청에 해당하는 북한 인민보안성의 명칭이 `인민보안부'로 바뀐 것은 단순한 `타이틀 변경'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는 듯하다.

인민무력부(국방부 해당), 국가안전보위부(방첩기관)와 나란히 북한 최고권력기관인 국방위원회의 직할 조직으로 재편돼 명실상부한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것이다.

이는 또 화폐개혁 실패의 `후폭풍'으로 경제적 피폐가 심화되고 식량난도 극도로 악화된 상황에서 자칫 동요할 수 있는 주민 통제 강화와 김정은 후계구도의 조기 안정화를 동시에 겨냥하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원래 인민보안부는 형식상 내각 산하였지만 실제로는 인민무력부, 국가안전보위부와 함께 국방위 지휘를 받아왔다.

국방위 위원을 겸직하는 군 대장이 수장을 맡아온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인민보안부는 사실상 무력기관이어서 내각과 분리돼왔지만 명칭만은 다른 내각 산하 기관들처럼 `성(省)'을 썼다.

그러던 것이 이번에 다른 국방위 직속 권력기관들처럼 조직 명칭에 `부(部)'를 달게 돼, 기관의 위상이 올라가면서 권한도 한층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인민보안부의 급부상은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이 시작된 작년부터 가시화됐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작년 11월 당시 인민보안성 예술선전대 공연을 관람한데 이어 같은달 하순 화폐개혁 단행 직전에 사상 처음 이 기관을 공식 시찰했다.

올해 2월에는 김 위원장이 인민보안부 협주단의 창단 공연을 관람했는데, 북한에서는 인민무력부 같은 `힘센' 기관만 자체 협주단을 갖고 있고 다른 기관들은 `예술선전대'를 운영하는것이 관례다.

대북 전문가는 "인민보안부의 최근 활동을 지켜보면 1990년대 중반 선군정치 초기에 인민군을 앞세웠던 것과 비슷하게 돌아가는 듯하다"면서 "화폐개혁 실패 이후 경제난과 식량난이 악화되자 인민보안부를 동원해 주민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의도인 것 같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