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이 지났지만 물가는 떨어지지 않고 소비자 체감도는 물가 당국의 발표보다 훨씬 높게 느껴진다는 여론이다. 사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에 미치지 못하는 1.0%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느끼는 체감 물가상승률은 공식지표보다 8.0%포인트 높은 9.0%로 나타났으니 충분히 그렇게 느낄 만하다. 국내 경기나 경제상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상태임을 국민이 뻔히 알고 있기에 느껴지는 허수(虛數)일 수도 있겠으나 각종 경제지표에서 나타나는 지표들은 여전히 우리 경제를 어둡게 하고 있다.

경제상황을 파악하는 여러 지표 가운데 무엇보다 직접적으로 체감되는 것은 실업률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실업률은 3.7%이지만 일자리가 부족한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8%로 역대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청년층 일자리수가 지난해 6월말 13만 1000개에 이르렀으나 급속도로 감소돼 10월에는 3만 1000개로 크게 줄어들었다. 경기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업 등의 청년 인력채용은 지난해 수준 밑으로 계획하고 있으니 청년 실업자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경제 당국이나 경제연구단체에서는 올해의 청년실업률이 10%를 돌파할 것이 확실시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런 실정에서 2월 중에는 대졸자들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오니 취업 시장 상황은 더 악화될 우려가 있다. 취업문이 협소하니 “졸업하자마자 실업자 신세”라는 청년들의 자탄 섞인 비관은 그냥 해보는 우스갯소리로 들리지 않는 현실이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자마자 부딪히는 취업의 두꺼운 벽은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장애물이 아닐 수 없다.

악화된 우리 경제를 살리는 일에는 경제주체나 객체가 모두 나서야 할 테지만 정부와 기업이 먼저 나서야 한다. 정부의 경제활성화 정책 가운데서도 일자리를 확충해 취업을 원하는 자에게 맞게 취업을 보장하는 것이 우선책이다. 정부가 청년일자리 예산을 전년보다 9.5% 늘려 2조 6천억원으로 책정하고, 청년들이 취업한 직장에서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취업 후 2년간 정부와 기업이 목돈을 마련해주는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지원규모를 확대했다고 해서 끝날 일은 아니다. 정부, 기업 등이 적극 협력해 사상 최악의 ‘청년 취업 빙하기’ 극복이 우선 과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