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대동여지도와 사찰지명’ 세미나에서 토론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불교사회정책연구소 ‘대동여지도와 사찰지명’ 세미나
대동여지도 안 사찰 조명 통해 불교문화와 관계 모색

[천지일보=차은경 기자] 성리학을 기본 사상으로 삼았던 조선은 숭유억불정책을 펼치며 불교를 억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게 되면 지도에 사찰지명이 표시되게 되는데, 이는 사찰지명이 지도의 대표 항목으로 선택됐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류명환 전임연구원과 부산대 김기혁 교수는 6일 불교사회정책연구소(소장 법응스님)가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개최한 ‘대동여지도와 사찰지명’ 세미나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이날 세미나는 대동여지도에 나타난 사찰들의 조명을 통해 불교문화와의 관계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대동여지도의 사찰지명 연구’를 주제로 발표한 한국학중앙연구원 류명환 전임연구원(왼쪽)과 부산대 김기혁 교수. ⓒ천지일보(뉴스천지)

‘대동여지도의 사찰지명 연구’ 발제문에 따르면 현존하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방역지도’, ‘동람도’ 등 조선 전기에 제작된 지도에는 사찰이 표시되지 않는 것과 달리, 조선 후기로 넘어가면 사찰지명이 표시된다. 사찰지명이 지도의 대표 항목으로 선정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리지, 읍지 등에 수록된 사찰을 바탕으로 선별적 수록이 이뤄지게 된다. 류 연구원은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사찰지명은 1861년 당대의 사찰 분포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의의를 밝혔다.

조선 후기에는 1673년 김수홍이 제작한 ‘조선팔도고금총람도’에 희천 보현사, 평양 영면사, 양양 낙산사, 합천 해인사 등 18개의 사찰지명이 수록되는 것을 시작으로 일부 사찰이 기록되기 시작한다. 18세기에는 ‘해동지도’ 등 군현지도가 발달하면서 본격적으로 사찰지명이 수록된다. 그러나 지면의 한계로 군현지도에는 일부 사찰만 기록되게 된다.

류 연구원과 김 교수는 조선 후기의 지도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사찰지명이 대동여지도에서 발견된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사찰지명이 ‘조선지도’를 시작으로 ‘해동여지도’ ‘청구도’ ‘대동여지도’로 지도의 발달이 이어지며 사찰지명 또한 같은 궤적을 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대동여지도에는 이러한 대축척 전국지도에 수록된 사찰지명에 대해 선택적 수용이 이뤄지면서 최종 242개의 사찰이 표기된다”고 설명했다.

그런데도 대동여지도에는 경주의 불국사 등 경주부, 안동대도호부 등의 사찰은 누락돼 있다. 이들은 “이번 연구를 통해 대동여지도에 실린 사찰지명이 기존에 편찬된 지리지와 지도 등에 수록된 사찰지명에서 선택이 이뤄졌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도 “대동여지도를 비롯한 조선시대에 제작된 사찰지명이 중요한 항목으로 편성된 배경과 수록된 사찰지명이 어떠한 철학과 기준을 가지고 선정됐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미흡하다”고 설명했다.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 지리학자인 고산자 김정호가 1834년에 자신이 만든 ‘청구도(靑邱圖)’를 1861년에 증보·수정한 대축척 지도첩으로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이다. 크기는 6.7m x 3.8m이며 동서 80리, 남북 120리를 한 면으로 총 227면으로 구성돼 있다. 2면이 1판으로 제작돼 이러한 판이 동서 19, 남북 22단으로 배열돼 있다. 목판 한 장에는 지도 2면을 앞뒤로 새겨 넣어 총 60장의 목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불교사회정책연구소가 6일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대동여지도와 불교문화의 관계를 조명하는 ‘대동여지도와 사찰지명’ 세미나를 개최했다. 불교사회정책연구소 소장 법응스님이 대동여지도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