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일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국민의당을 향해 야권통합을 공식 제안했다. 우 대표는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힘을 합쳤을 때 정권교체가 확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라며 “정당 통합이 어렵다면 적당한 시점에 공동정부 구성을 위한 연립정부 협상이라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물론 ‘야권통합론’은 그동안 더불어민주당에서 수차례 나왔던 내용이기에 새삼스런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번에는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공식 제기됐다는 점에서 그냥 넘어갈 일은 아니다.

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 전 대표는 정치일정의 주요한 고비마다 ‘야권통합론’을 던지며 제3당의 급부상을 견제해 왔다. 지난해 20대 총선 때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당시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는 야권통합론을 일축하며 끝까지 완주해 ‘3당 체제’를 구축했다. 이는 국민이 만들어준 새로운 정치지형이다. 그만큼 국민은 양당체제에 식상해 있으며 그들이 만들어 내는 ‘진영논리’에 지쳐 있었다는 뜻이다. 이렇게 해서 어렵게 3당 체제, 이제는 바른정당까지 가세해서 4당 체제가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정치의 적폐 가운데 하나는 양당체제로 귀결되는 정치 기득권체제의 독점구조에 있다. 선거제도와 투표방식으로 국민의 다양한 선택지를 차단시키면서 거대정당 두 개가 모든 정치적 기득권을 독점해 왔던 것이다. 이른바 ‘적대적 공생관계’를 유지하며 그들만의 정치적 패권을 유지시켜 왔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지난 20대 총선을 통해 형성된 3당 체제는 불안정하지만 의미있는 결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야권통합만이 능사가 아니라 이제는 야당도 경쟁하라는 국민의 준엄한 명령이었다.

그럼에도 더불어민주당이 다시 야권통합이라는 낡은 정치담론을 꺼냈다. 그동안 국민의당이 수없이 ‘야권통합은 없다’고 밝혔음에도 다시 이를 거론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이는 ‘자강론’을 표방한 국민의당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아니다. 국민의당을 흡수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당 대선후보를 일찌감치 눌러 앉히겠다는 발상이라면 이 또한 구태의연한 패권주의적 행태에 다름 아니다.

국민의당 후보가 대통령선거에 당선돼도 ‘정권교체’다. 더불어민주당 후보만이 정권교체 할 수 있다는 것은 오만 아니면 몰상식이다. 야권이 더 치열하게 경쟁하고 그 결과로 정권교체의 내용마저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면 야권통합이 아니라 오히려 야권경쟁이 더 바람직하다. 이미 여권은 몰락하고 있다. 이제는 정권교체의 수준과 가치를 놓고 야권끼리도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 마냥 ‘닥치고 정권교체’만 외칠 일이 아니다. 한 단계 더 높여서 이제는 ‘어떤 정권교체인가’를 놓고 야권끼리도 치열한 경쟁을 할 때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